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연은 어느 경우에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은 놀이용도 뿐 아니라 군사 작전에서도 사용 되었습니다. 연은 가오리 연과 방패연으로 구분되며 전 세계 160여 개국이 연 문화를 가지고 오랫동안 연 축제를 이어오고 있으나 정작 방패연은 한국만이 가지고 있으며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는 연인데 방패연의 특징은 과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연이라는 점이다. 연 가운데 구멍이 바람을 이용하는 기술로 연의 기능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연으로 소통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방패연은 구멍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되며 상하에 그림이나 색상을 표시하여 군사들에게 작전을 지시하는 수단이었는데 산을 표시하면 삼봉산으로 집결하거나 밤에 공격하라는 등의 지시로 흩어졌던 군사를 집결시키고 공격하고 다시 흩어짐으로 왜군을 혼란시키고 긴장시킴으로 작전을 유리하게 전개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잔존해 있는 몽골의 풍습 여러가지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골의 음식 문화도 고려로 들어왔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소주, 설렁탕, 타락죽, 순대, 수유 등이 몽골의 음식 이였습니다. 결혼 풍습에서도 몽골과 우리나라의 유사점이 있습니다. 족두리를 쓰고 연지 곤지를 찍고 시집가는 결혼 풍습은 몽골의 것이 원조이며, 아이를 낳은 집에 금줄을 치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 관련 기사에서 말하는 M7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M7이란 현재 미국 증시를 이끄는 7개의 빅테크 기업 종목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영어로는 Magnificent Seven으로 1962년 개봉된 '황야의 7인(The magnificent seven)'에서 가져온 단어인데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BAC)의 마이클 하트넷이 처음 쓴 단어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하며 과거 미국 주식을 이끌던 기업을 나타내는 FAANG(Facebook, Apple, Amazon, Netflix, Google)에서 'M7'으로 증시의 리더가 바뀌었다고 합니다. 포함된 기업으로는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이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새로운 배송서비스라고 부르던 드론배송 시장 수요가 망한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드론 배송의 문제점은 우선 법규와 규제 때문 입니다. 드론은 비행 제한 구역에서 날리지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는 비행 제한 구역이 너무 많기 때문에 드론이 일반 가정에서 자유롭게 배달받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아파트가 많은 우리나라 특성상 고도 제한이 걸려있는 드론이 배달하기 여간 까다롭다고 한 이유 입니다. 더욱이 드론은 무게 제한이 있어 무거운 물건은 배송 자체가 어렵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기사도는 누가 만들었고, 어떤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사도란 중세 시대에 발전했던 일련의 행동 규범입니다. 비록 단일화된 문서 같은 것은 없지만 후대의 문학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비공식적인 규범이라 할 수 있는데 이 규범은 무사들이 지배하는 사회 체계를 안정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 기사도의 덕목은 충성과 신앙, 겸허, 용맹, 사랑, 관용, 부녀자와 약자 보호 등이 내용 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과거2차대전때, 히틀러는 왜 스위스만 안건드렸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위스가 제2차 세계대전에 휩싸이지 않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원인은 자국의 화폐가 전쟁 참여국들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기축통화 역할을 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영세 중립국의 역할을 하게 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각 나라의 시차 기준은 어떻게 정한건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세계 시간의 기준을 나누는 기준은 1884년 국제자오선회의에서 그리니치 천문대를 세계 표준시의 기준점으로 채택하였습니다. 그리니치 표준시는 하루를 24시간, 각 시간을 60분으로 나누는 국제적인 표준 시간 체계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관리도 정규 출퇴근시간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관리들은 근무시간을 엄격히 지켰으며, 출근 시간에 늦게 오는 경우 곤장이나 삭직과 같은 처벌을 받았습니다. 또한, 출근 시간 외에 관청에 머물러 있는 것도 금지되었다고 하는데 보통 오전 6시에 퇴근하고 오후 6시에 퇴근을 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 앙드레김 선생님은 왜 항상 하얀색옷만 입고 다녔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앙드레 김(1935~2010)은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에서 5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그의 어머니는 가난한 살림살이에도 늘 자식들에게 순백색의 옷을 입혔다고 합니다. 어머니가 돌아 가시고 흰색 옷에 대한 회한이 깃들어 항상 흰색 옷만 입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덴마크의 수도는 코펜하겐이라는 섬에 위치해 있다고 하는데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코펜 하겐이 덴마크의 수도가 된 이유는 지리적 요건 때문 입니다. 코펜하겐은 1167년에 최초로 성채가 축조된 뒤에 발전하여 13세기 중엽에는 수륙 교통의 요지를 차지하는 지리적 조건으로 인하여 쾨벤하운이라고 하였습니다.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