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회사에서 보고서나 품의 상신을 할때...헷갈리네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로와 데로의 차이는 " 상태" 와 " 장소" 라는 차이 입니다. 예문을 통해서 더 정확한 표현 차이를 보면 ex) 네가 느낀대로 말해봐 . ex) 위함 하니까 깊은 데로 가지마 .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로미터는 어떤 의미를 가졌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 해를 극도로 빈곤하게 보낼지, 혹은 풍요롭고 순탄하게 보낼지를 알려주었을 뿐만 아니라, 나라의 운명을 반영하기도 했기 때문 입니다. 종교와 정치가 뗄 수 없을 정도로 깊은 관계를 맺었던 고대국가 이집트에서는 나일로미터의 수치를 곧 신이 보내는 메시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나일로미터는 보통 사원 안에 세워졌습니다. 이집트의 사제는 국가 운영을 맡기도 하고 반인 반신인 파라오에게 조언도 하는 공직자였는데 그들은 나일로미터의 눈금을 읽고, 범람을 축복하는 종교의식도 감독했답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는 우리역사에서 고구려, 백제와 전혀 관계가 없는 민족인가요? 언어도 달랐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의 언어가 달랐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는데 고구려어로 대표되는 부여계외 여러 언어들과 신라어로 대표되는 한계 (韓系)의 여러 언어가 가까운 친족 관계에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삼국 간의 의사 소통은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것으로 추정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날 작품에서는 젊고 건강한 사람표현을 대추같은 얼굴이라고 표현한이유?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무에서 막딴 대추를 보면 외관이 탱탱 하고 붉은 빛이 약간 감도는 것이 표면이 매끈 매끈 하고 먹음직 스럽습니다. 이렇게 탱탱하고 맑은 빛의 외모를 젊은 사람들에 비유해서 쓴 표현이 대추 같은 얼굴 이라고 볼 수 있을 것으로 추정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글을 만드신 세종 대왕은 소고기 매니아 였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년 시절부터 고기를 좋아하고 움직이기 싫어하는 성향을 가진 세종은 평생 비만으로 인한 성인병으로 고생했다고 합니다. 아버지 태종이 세종의 즉위 후 '운동'을 권할 정도였으나 고기 반찬이 없으면 수저를 들지 않았던 습관은 쉽게 고쳐지지 않았고 삼년상 중에는 고기를 먹지 못하지만 아들이 고기를 먹지 못해 몸이 상할 것을 염려한 태종은 "세종에게 고기반찬을 주라"는 유언을 남기기도 했다고 할 정도 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는 노벨상을 누가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의 유일한 노벨상 수상자는 여태까지 단 한 명 김대중 전 대통령 입니다.대북 햇볕 정책의 일환으로 2002년 12월 노벨 평화상을 수상 하게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왕권강화를 위해 도입되었던 법은?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권 강화를 위한 정책은 다양 했습니다. 우선 군사 적인 측면에서 사병을 혁파 하고 그 사병들을 국가에서 관리하게 만듦으로서 왕권을 강화하게 되었고 과거 시험을 실시 해서 왕이 원하는 인재를 정치에 뽑아 썼던 것도 왕권강화책 이라고 볼 수 있으며 세재 개혁및 농지 개혁도 귀족 세력을 견제 하고 왕권 강화를 위하 목적에 포함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왕비가 왕대비가 아닌 경우 왕비의 어머니가 살아있는 경우에는 어떤 호칭?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비의 어머니인 경우 보통 부부인 이라고 불렀습니다. 부부인 (府夫人)은 왕비의 어머니이자 왕의 장모. 왕비 (王妃):왕의 정실부인이며, 내명부 최고권력자이자 온백성의 어머니가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서 수두시대는 어떤 시대를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상고사’에서는 우리 역사의 시작을 ‘수두시대’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수두’란 제사를 지내는 제단을 의미하는 말로, 조선 민족은 ‘수두’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들이 모여 살며 1년에 두 번, 즉 5월과 10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수두 시대란 부여및 고구려 시대를 의미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장보고가 고국인 신라를 떠나서 당나라 장수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분을 중요시 여기는 신라 사회에서는 장보고와 같은 천민 출신의 사람들은 장군이 될 수 없었습니다. 그러기에 비교적 능력만을 보고 출세 가능한 당나라로 건너 가 거기에서 당나라 장수가 된 것 입니다.
2512522532542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