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라면의 기원이 일본이 아닌 중국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라며이라는 단어의 어원으로 봐도 ‘납면 (拉麵)’을 중국 발음으로 하면 ‘라미엔’, 일본 발음으론 ‘라멘’, 한국 발음으론 ‘라면’이 된다고 합니다. 메이지 (明治)유신 (1868년) 직후인 1870년대 요코하마 (橫濱) 등 일본의 개항장에 들어온 중국 사람들이 라면을 노점에서 만들어 팔면서, 일본에 라면이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접미사 '-꾸러기'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어떠한 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꾸러기라는 말 앞에 어떠한 것을 붙인 말(XX꾸러기)로 다양하게 부르는 접미사이다.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로 쟁이가 있는데, 꾸러기와 마찬가지로 XX쟁이 식으로 부른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전관예우라고 하는 것은 다른 나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단 법관의 경우 우리나라는 법원조직법상 대법원장과 대법관의 정년은 각각 70세, 판사의 정년은 65세인데요. 다른 나라는 이보다 정년이 길거나 아예 종신인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만 해도 연방법원 판사는 종신이고, 주법원 판사 정년은 70세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판사가 정년까지 근무합니다. 영국도 대법원장 및 대법관은 종신직이고 일반 법관의 경우 정년이 70세이며 임기의 제한도 없기에 다른 나라는 전관 예우라는 것이 없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현재 대한민국 경제 순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2년 국제통화기금 (IMF)의 세계경제 전망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명목 국내총생산 (GDP)은 미 달러화 기준으로 1조8천239억 달러 (약 2천166조8천억원)로 추정됐다고 합니다. 이는 전 세계 191개국 가운데 10위에 해당하는 규모 입니다. 내년 한국의 GDP는 1조9천77억 달러 (약 2천266조3천억원)로, 역시 세계 10위 수준 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염가판매는 얼마나 싸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염가는 廉價라고 쓰며 각 글자는 ‘청렴할 염’, ‘값 가’라고 훈독 합니다. 이런 훈독을 따르자면 ‘청렴한 가격’이라고 해야 되겠지만 ‘廉’에는 ‘(값이) 싸다’는 뜻도 있으므로 염가는 ‘싼값’이라는 의미라고 하고 정확한 몇 프로 정도 싼 것인지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염가와 비슷한 말로 ‘저가(低價)’가 있는데 ‘低’는 ‘낮을 저’라고 훈독하는데 글자의 구조는 ‘亻(=人)’과 ‘氐(근본 저)’자가 결합한 모습 입니다. ‘氐’자는 땅속으로 뻗은 나무뿌리에 점을 찍어 ‘낮다’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이기에 그러므로 ‘低’ 자는 사람의 신분이 낮다는 뜻입니다. 나중에 뜻이 확대되어 ‘高(높을 고)’의 반대말로서 모든 낮은 것에 다 적용되는 글자로 쓰이게 되었다고 합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ESG 경영은 어떤 방식의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SG 경영은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그리고 지배구조 (Governance)' 이 세가지 요소를 기업 경영에 포함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내 소비자들은 ESG 부문의 지속가능성이 높을수록 기업의 신뢰와 존경 수준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시가총액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 (時價總額, market capitalization)은 주가 와 발행 주식수 를 곱한 것으로 상장회사 혹은 기업 가치 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우리 나라 코스피의 시가 총액은 2023녀 기준 2,126조 로 전세계 시장에서 15번째 시장 ㄱ모라고 합니다. 1위는 미국의 NYSE 주식 시장 이라고 합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영국의 식음료 물가가 다른 선진국대비 물가가 훨씬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은 유럽 연합에서 탈퇴국 입니다. EU와 자유무역을 끊어버린 탓에 수출입 통관에 투입하는 시간·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났고 그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무역 감소와 투자 지체가 뚜렷합니다. EU 회원국 국민의 자유 왕래를 막은 여파로 노동력이 부족해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람들이 죽은 사람을 매장하는 문화는 언제부터 생긴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사시대에는 유목생활에서 정착 문화로 변경되던 시기로써 사는 곳의 인근의 터에 고인의 주검을 흙 속이나 조개더미 밑에 매장을 했습니다. 선사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자 장례방식은 '고인돌'이라고 칭하는 매장 방식의 장례가 이루어졌는데 주검의 시신을 흙 아래 매장하고 그 위에 커다란 바위를 옮겨 두는 방식의 고인돌 무덤은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어 보존되는 유물입니다. 이후 청동기시대나 철기시대에 들어선 다음에는 돌이나 항아리를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생겨나기도 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분제도는 언제부터 폐지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신분 제도는 후기에 접어들면서 사회경제적으로 변동을 겪다가 1894년 갑오경장을 통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습니다. 이것은 길게 보면 조선후기부터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온 거대한 신분제 폐지 운동의 흐름의 결과였으며, 직접적으로는 갑오농민전쟁으로 분출된 민중의 강렬한 요구에 밀려 이루어진 것이었다고 합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