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그리스신화에 영향을 받지 않은 로마 신도 있나요?
로마 신들은 크게 그리스 신화의 영향을 받아 로마식으로 변형된 것이 많았지만, 일부로마 신들은 그리스 신화와는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로마의 창세신이자 신화의 창시자인 마르스(마르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그와 유사한 신으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또한, 로마의 신들 중에서는 로마의 역사와 문화와 관련된 신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로마의 건축과 도시의 보호신인 베스타(Vesta)가 그런 예입니다.하지만 로마 신들은 대부분 그리스 신들과의 관련성과 유사성이 높습니다. 그리스 신화가 로마로 수입되면서 로마인들은 그리스 신들을 자신들의 신들로 흡수하고자 하였고, 그 과정에서 그리스 신들의 이름과 역할을 일부 수정하거나 로마 문화와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변형되었습니다. 따라서 로마의 신들은 그리스 신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Q. 의복이라는 문화는 언제부터 발생하게 된 것인가요?
의복의 역사는 인류의 진화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최초의 의복은 구석기 시대에 동물의 가죽이나 식물의 잎 등을 사용하여 체온을 조절하고 몸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그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각 문화와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의복이 발전하였습니다.구체적으로 어느 국가에서 의복의 문화가 시작되었는지는 밝히기 어렵습니다. 다양한 문화와 지역에서 각자의 기후, 환경, 문화적인 요인 등이 옷의 형태와 스타일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집트의 고대 문명에서는 리넨으로 만든 가벼운 의복을 사용하였고, 중국의 한복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문화와 역사 속에서 의복의 발전과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현재의 다양한 의상들이 형성되었습니다.따라서, 의복의 문화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정 국가에서의 독점적인 발생이 아니라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서 동시에 발전해온 것입니다.
Q. 과거 김수환 대주교가 교황청 추기경에 임명이 되었는데요 추기경의 지위는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교황청의 추기경(Protonotary Apostolic)은 교황청 내에서 특별한 지위를 갖는 직책입니다. 이 지위는 교황청의 법원 직원으로서 교황에게 직접적인 지원과 조언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추기경은 교황청의 상급 직책으로, 교황의 고위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일부 권한과 교황의 명의로 문서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교황청 내의 중요한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교황에게 충고와 조언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추기경은 교황청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교황의 대행자로서 교황의 관점을 대변하고 교황의 결정과 방침을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김수환 대주교가 교황청의 추기경으로 임명된 것은 교황청에서 그의 업적과 지위를 인정받았음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