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갑자기 심장마비로 돌아가시는 분들은 이전에 어떤 검진을 하면 예방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모든 질환이 심화가 되었을때 -> 전해질 불균형, pH (몸의 산성화), 다발성 장기 부전 양상으로 흘러가 심정지가 나타날수는 있지요. 그렇지만 굳이 더 심혈관계 질환쪽에 더 포커스랄 맞추어 본다면,당뇨, 고지혈증, 고혈압에 대한 관리가 잘 이루어져야 생존 이득이 더 크다고 봅니다. (survival benefit) 당뇨: 혈중에 당이 많은 상태로 -> 결론적으로 지질의 증가 -> 동맥경화 일으킬 수 있지요. 고지혈증: 혈관이 좁아짐에 따라 심장에 영향을 주는 혈관에 악영향 고혈압: 장기간 고혈압의 노출은 심비대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고, 전기전도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급작스러운 부정맥 유발 -> 심정지 가능.
Q. 당뇨가 있는데 지방변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변에 지방 조성이 높을 경우에도, 그럴수 있지만 , 장내 세균 발효 양상에 따라 변에 기포가 많이 섞여도 밀도가 낮아질 수 있죠변이 지속적으로 뜨고, 회색변 양상이거나, 기름막이 변기물에 뜨는 경우라면 지방변을 의심해보아야 겠습니다만, 관련 사진은 그렇지 않아 보이네요.다만 배변 양상은 그리 좋아보이지 않고 , 적절한 대증치료 필요하다고는 판단되어집니다.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심장 두근거림과 떨어지는느낌. 왼쪽 등 아픔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심장이 쿵 떨어지는 듯한 느낌은 심실/심방 조기수축 양상일 수 있습니다. 물론 흉통 양상에 대해서는 역류성 식도염도 감별해보아야 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심전도는 검사 하는 그 순간의 전기적 생리를 검사하는 것이기에, 증상이 없다면 부정맥 유무를 평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보다 적절한 평가를 위해 ck, ck-mb, troponin 을 포함한 내과적 기본검사, 심전도 (필요시 24-48h 홀터모니터링) , 심초음파 권유드리고 싶습니다. 적절한 평가 시행 위해 내과 내원하여주세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