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헬륨 가스를 마시면 왜 목소리가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헬륨을 마셨을 때 목소리가 변하는 현상을 '도날드덕 효과'라고 합니다.사람의 목소리는 공기가 "폐 - 성대"를 지날 때의 떨리며 만들어집니다. 이를 진동이라고 하지요. 각 물체마다 고유의 진동 수를 가지고 있어 떨림의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가 다릅니다. 이로인해 사람마다 목소리가 다른 이유이기도 하며, 성대모사를 할 수 있는 것이지요.따라서 목소리를 내는 재료가 공기에서 헬륨으로 바뀌었을 때는 목소리를 낼 때의 진동수가 달라지겠지요.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공기가 지나가는 속도보다 헬륨이 지나가는 속도가 2.7배정도 빠르다고 합니다. 밀도가 낮다는 건 같은 공간에서 헬륨이 공기보다 더 적게 있다는 것이지요. 소리가 성대를 더 빠르게 지나가기 때문에 평소 공기로 소리를 낼 때보다 더 높은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입니다.높은 소리를 낼 수 있는 헬륨과 반대로 낮은 소리(영화 트랜스포머에서의 옵티머스 프라임 등과 같은)를 낼 수 있는 기체는 '크립톤'이라는 기체 입니다.얼마 전에 헬륨가스로 목소리를 장난치던 학생들이 질식사(산소부족증, 저산소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목소리 변조 등을 할 때는 여유시간을 두며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그리고, 헬륨 가스 풍선으로는 확률이 낮지만 혈류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고압의 헬륨을 마시는 상태일 때, 폐가 헬륨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는 상황 등에서 발생 확률이 높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라고 단정 지을 수 없기 때문에 헬륨 가스를 흡입할 때에는 충분한 시간의 기간을 두고 하시는 것이 안전한 방법입니다.
Q. 무한동력은 아직 만들 수없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무한동력, 즉 영구기관이라는 것은 제 1종 영구기관, 제 2종 영구기관, 제 3종 영구기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제 1종 영구기관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 외부에 대하여 영원히 일을 하는(에너지를 공급하는) 기관을 뜻합니다. 즉, 0에서 1이상의 에너지를 무한히 생성하는 기관입니다. 하지만, 어느 에너지의 종류이건 "에너지의 총합을 일정하다"라는 열역학 제 1법칙을 위배하게 됩니다. 에너지의 총량은 언제나 같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에너지가 없으면 이후 어떤 에너지 형태이건 0입니다. 따라서 제 1종 영구기관은 불가합니다.제 2종 영구기관은 열에너지를 100% 역학적 에너지(다른 에너지)로 전환이 가능하다라는 개념에서 탄생되었습니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에너지는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습니다. 형태가 변할 뿐이지요. 차가운 것과 뜨거운 것을 같이 있을 때, 시간이 흐른 후 두 물체는 같은 온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처럼 에너지는 흐름의 방향성만 있을 뿐, 뜨거운 것에서 차가운 것으로 이동된 에너지는 스스로 다시 뜨거운 온도를 가질 수 없습니다.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기 위해선 외부로부터 처음보다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런 변화량을 엔트로피라고 하며, 엔트로피라는 것이 증가하는 형태입니다. 엔트로피는 감소하지 않는다는 열역학 제 2법칙을 정면으로 위배하게 되지요.제 3종 영구기관은 절대온도와 관련된 영구기관입니다. 이미 앞에서 언급했던 제 1종 영구기관, 제 2종 영구기관으로만으로 무한동력이 불가함을 설명하였으므로 제 3종 영구기관의 설명은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가 에너지의 생성과 소멸이 자유로운 "열린 계(System)"이라면 열역학 제 1법칙으로부터 자유로워 무한동력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현재의 우주는 "닫힌 계(System)"입니다. 즉, 에너지의 총량은 언제나 같다. 라는 법칙이 적용되는 공간인 것이지요.
Q. 간단한 기초 회로인데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해당 회로에 이용된 건전지의 전압과 LED의 필요 전력량을 모르겠습니다만...해당 회로는 전류가 통하는 즉, 전기가 회로를 타고 이동하는 회로입니다. 중간에 건전지 하나가 음/양이 반대되어 설계되었지만 이는 일종의 저항역할을 하여 전류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즉, 위상만을 반대로 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절감되는 것입니다.전류, 전기의 흐름이 약하게 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건전지 2개, 3개를 이용하였을 때보다 LED의 밝기가 매우 약하게 나타날 것입니다.간단하게 정리를 하자면, 중간에 반대로 설치된 건전지가 일종의 저항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해당 전체 회로에 대한 전류(전기의 흐름)가 약해져 LED의 밝기가 비교적 떨어지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