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해지와 표준형의 장단점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철근 보험전문가입니다.금융감독원이 판매하지 말래요, 그 이유는 일부 악성 블랙 컨슈머가 본인이 가입한 보험을 해지하고 싶은데, 손실이 크다보니, 무해지 건강보험으로 민원을 걸어 낸 보험료 돌려 받는것을 막기 위함입니다무해지라는 보험은 보험료를 내는 기간에 중도해지하는 경우 해지환급금이 없습니다, 완납이후에는 해지환급금이 발생합니다 그럼 고객입장에서는 손해? 라고 생각하는데요, 그게 아니라 중도해지시 해지환급금이 없는 대신 월 내는 보험료를 미리 해지환급금 만큼 보험료를 할인 해 준 상품이 바로 무해지 건강보험입니다그러니 무해지 건강보험은 중도해지시 해지환급금이 없는게 아니라 미리 할인을 해준건데, 이를 빌미로 블랙컨슈머가 그런 말 들은적 없다라고 민원을 거는 악성민원이 발생하다보니 판매하지 말라는 것입니다암튼 4월부터는 모든 보험사에서 판매가 안됩니다
Q. 보험 지급의 주체 회사와(ex db보험), 설계사 업체가 다른것에 따른 문제 발생이 있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철근 보험전문가입니다.먼저 디비손해보험이면 종신보험이 아닙니다 손해보험사는 종신보험을 판매하지 않습니다, 단슨 건강보험이나 혹은 디비손해보험이 아닌 디비생명이거나 둘중 하나이겠죠?10년 후, 20년 후 당연히 보험사가 해지 환급금이 얼마가 될지 모르죠,안그런가요? 마치 내가 지금 1천만원 있는데 이것을 주식에 투자를 했는데 10년 후 어떻게 되는지 알려달라는것과 같은 이치입니다당연히 보험사는 알수 없고 다만, 가입당시 헤지환급 예시표? 를 드립니다 가입설계서 받은게 있다면 맨 뒷장에 있는데 대략 그 정도이겠군 이라고 추측하면 되는데, 고객 콜센타에서는 그 단순 예상해지환급률을 보고 고객에게 안내할수는 없지요 ,당연히 가입당시 설계사나 가입시킨 대리점에 문의하라고 밖에 달리 할말은 없을것입니다종신보험은 사망을 보장하는 보험이기 때문에, 보험사에서는 그만큼 사업비를 크게 떼어 가고요, 그래서 아무리 납입해도 원금에도 못미치는 마이너스입니다결론은 본인은 해지 환급금이 얼마가 되는지 알아야 이 보험을 유지 혹으 해지할지 고민한다는건데요, 가입당시 설계안이 있다면 그 안에 미래 혜지 환급 예시표가 있습니다 그것을 보시고 판단하시고요만일 없다면 시간이 지나 재발행은 어렵고 이때는 가입당시와 같은 조건으로 같은 상품을 설계하여 가입설계서를 받아보시면 해지환급 예시표 확인이 가능합니다당연히 가입할때와 지금은 시간이 많이 흘러 차이가 나지만 그래도 대략 이 정도 금액이라는것을 추측할수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