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금융소비자 교육과 보호에 관심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금융소비자 교육과 보호에 관심이 많습니다.
조유성 전문가
한국FP협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학문
역사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정월대보름에 부럼은 언제부터 먹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정월대보름에 부럼을 먹는 것은 일종의 '풍습', '문화'였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미 과거 정월대보름을 나름의 명절로 인식했던 때부터 이러한 문화는 존재해왔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발해의 대표적인 왕에는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발해의 대표적인 왕으로 우선 건국자인 고왕(대조영)이 있고, 그 다음으로 2대 왕인 무왕(대무예)와 3대 왕 문왕(대흠무) 이렇게가 발해 초기 역사에서 유명하고, 중~후기에는 단연 선왕(대인수)이 해동성국을 연 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기해예송과 갑인예송의 결과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예송논쟁은 1차 기해예송과 2차 갑인예송이 있었는데,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가 어떤 상복을 입어야 하는지를 두고 벌어진 논쟁으로써 각각 1차에서는 서인이 2차에서는 남인이 승리함에 따라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갑신정변이 조선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갑신정변은 김옥균, 박영효 등이 주도해서 일으킨 정변이었는데, 사실상 이 갑신정변 진압에 청나라의 도움을 받았다는 부분에서 청나라에 대한 조선의 간섭이 더 심해졌고, 영향력은 더 강해졌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부여의 민며느리제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민며느리제는 결혼을 약속한 집안의 여자가 남자 집에 가서 살다가 혼기가 차면 다시 집으로 돌려보냈다가 결혼하도록 했던 제도로 해당 제도는 결혼할 여자가 있는 집이 여자를 약탈당하지 않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최근 연금저축펀드 법 바꿨는데 어떻게 바뀐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국내 상장 해외 ETF에 대해서 외국에 세금을 납부하는 경우 그 외국 적용세율만큼 원천징수를 하고, 국세청의 환급 없이 세후 분배금을 넣어주는 것인데, 이것만 바뀌었을 뿐 여전히 연금저축펀드의 투자가치는 있다고 볼 수 있긴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엑스알피가 다시 상승을 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사실상 XRP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몰린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어떤 자산이건 단기적으로는 수요-공급에 의거하여 대중 심리에 근거해 가격이 오르고 내리기 때문에 이 부분을 충분히 염두를 해두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미국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꾸준히 매입하면 무조건 수익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무조건은 아닙니다. 투자에 있어서 미래 확정된 것은 없기 때문이며, 다만 그 기간이 최소 5년, 10년 이상이라면 손실 보다는 수익을 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이 사실이며, 지난 2015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적립식 투자를 했다면 사실상 손실을 보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렇게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 됩니다.
역사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역사학계 용어중 괴이한 용어가 원삼국 시대라고 생각하는데 초기 삼국의 역사를 부정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초기 삼국의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닌 고조선 멸망 이후, 삼국의 형태(고구려, 백제, 신라)가 갖춰지는 이 사이의 기간을 원삼국이라고 하는데(* 즉, 삼국시대가 형성되기 이전의 '근본이 되는 시대' 라는 의미이죠. ), 모든 학자들이 이 원삼국이라는 용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라 할 수 있습니다.
역사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백정이라는 말이 고려시대에는 어떤 의미로 쓰인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조선의 백정은 도축업자의 의미였으나, 고려의 백정은 도축업자(즉, 천인)가 아닌 단순한 '백성'들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며, 이 백정이라는 말은 이미 고대시대부터 자연스럽게 사용되던 호칭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