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김지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친절하게 지식을 공유하겠습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8,565개
답변 평점
4.9
(1,332)
받은 응원박스
58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2,359개
친절한 답변
627
자세한 설명
600
돋보이는 전문성
569
명확한 답변
563
최근 답변
제습제에 고인 물은 어떤 성분이고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말씀하신 물먹는 하마같은 제습제는 단순히 수분을 모으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염류 기반의 화학 반응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그것을 액체 상태로 바꾸는 원리로 작동합니다.대부분의 가정용 제습제는 염화칼슘(CaCl₂)을 주성분으로 하는데요, 염화칼슘은 매우 강한 흡습성을 가지고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을 끌어당기고, 이 수분이 염화칼슘에 흡수되면서 염화칼슘 수용액으로 변합니다. 즉, 제습제에 고인 물은 사실상 순수한 물이 아니라, 염화칼슘이 녹아 있는 고농도의 염용액입니다. 이 용액은 약한 염산성(pH 4~6) 을 띠기도 하며, 피부에 닿으면 약간의 자극이나 따가움을 느낄 수 있고 또한 금속이나 시멘트, 천 등의 표면에 닿으면 부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따라서 직접 싱크대나 세면대에 흘려보내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배수관 내부의 금속 부분을 부식시킬 가능성이 있고, 환경적으로도 좋지 않습니다.고인 용액을 신문지나 종이타월에 흡수시켜서 말린 뒤,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시거나 혹은 뚜껑을 닫은 상태로 용기째 생활폐기물로 버리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16시간 전
0
0
송전탑? CCTV 폴대 위에 새둥지가 있는데요 새에게 안좋은 영향이 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송전탑 주변에는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미약한 전자기장(EMF)이 형성됩니다. 다만 현재 연구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조류는 이 수준의 EMF에서 직접적인 건강 피해를 받지는 않는데요, 이는 새의 신경계나 번식 능력에 영향을 줄 정도로 강한 전자기장은 아니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송전탑이나 CCTV 폴대의 금속 구조물에 둥지를 트는 새들은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날개나 젖은 깃털이 두 전선 사이를 동시에 접촉할 경우 전류가 몸을 통과하여 치명적인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송전선 근처의 둥지는 전기적 위험이 가장 큰 요인입니다. 또한 CCTV 폴대는 지속적인 진동이나 미세한 소음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부화나 포란 중인 새에게 경미한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조류는 도심 환경에 적응력이 높아 일정 수준에서는 큰 문제 없이 버팁니다.둥지를 강제로 제거하면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미 알이나 새끼가 있을 경우, 이는 법적으로 ‘야생생물보호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보호종이 아니더라도 번식 중인 둥지를 훼손하면 처벌 대상이 됩니다. 새는 자신의 둥지를 잃으면 강한 스트레스와 혼란 반응을 보이며, 이후 번식을 포기하거나 다른 위험한 장소로 이동해 피해가 커질 수 있습니다.따라서 현재 둥지에 알이나 새끼가 있는지 확인하시고 있다면 절대 치우지 말고, 부화 및 성장 기간(보통 3~4주) 동안 그대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알이나 새끼가 없는 빈 둥지라면, 번식이 끝난 뒤에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18시간 전
0
0
악어거북은 생태계에서 피식자 위치인가요? 포식자 위치인가요?
안녕하세요.악어거북은 생태계 내에서 명백한 상위 포식자의 위치에 속하는 생물인데요 겉보기에는 단순히 크고 둔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강력한 턱과 뛰어난 잠복 능력을 바탕으로 먹이사슬의 높은 단계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악어거북은 주로 강이나 늪, 호수의 바닥에 머물며 몸을 거의 움직이지 않고 기다리는 매복형 포식자이며 입 안의 지렁이처럼 생긴 분홍색 혀 끝을 흔들어 작은 물고기들을 유인한 뒤, 접근하는 순간 번개 같은 속도로 입을 닫아 사냥합니다. 먹이는 주로 물고기, 양서류, 조개, 새끼 악어나 작은 포유류, 때로는 다른 거북까지 포함될 정도로 다양합니다.성체 악어거북은 크기가 크고 껍질이 단단하며, 물속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성체가 된 이후에는 천적이 거의 없습니다. 즉, 어릴 때는 큰 물고기나 새, 수달 등에 의해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성체가 되면 사실상 피식자보다는 완전한 포식자로서 생태계의 상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즉 악어거북은 단순히 덩치만 큰 피식자가 아니라, 수생 생태계의 상위 포식자이자, 하천 생태계의 먹이사슬 상부에 자리한 균형 유지자입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1일 전
0
0
잉크
작성한 글
2개
받은 잉크 수
13
글 조회수
1,799회
잉크
학문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
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광합성>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C₄ 광합성>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시 식물: 선인장, 알로에, 크라슐라과 식물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적 적응을 하는데요,두꺼운 잎 또는 줄기: 수분 저장기공 위치와 크기 조절: 잎 뒷면이나 미세한 기공 → 증발 최소화왁스층 또는 털: 수분 손실 억제, 햇빛 반사
25.08.22
8
0
1,094
학문
산과 염기
산(Acid)과 염기(Base)의 정의1)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Proton 기준)산(Acid):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내놓는 물질 ex) HCl → H⁺ + Cl⁻염기(Base):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받아들이는 물질 ex) NH₃ + H⁺ → NH₄⁺2) 루이스 정의 (전자쌍 기준)산(Acid): 전자쌍을 받는 물질 (전자 수용체) ex) BF₃염기(Base): 전자쌍을 주는 물질 (전자 공여체) ex)NH₃즉,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H⁺ 이동에 초점, 루이스 정의는 전자쌍 이동에 초점을 둔 것입니다.
25.08.22
5
0
705
김지호 박사
서울대학교
전문가 랭킹
학문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