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러브버그가 한번에 사라질수도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러브버그는 짧은 시기 동안 대량으로 출몰했다가 갑자기 사라지는 독특한 생활사를 가진 곤충인데요, 수도권 지역을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갑작스럽게 수많은 러브버그가 나타났다 사라졌다면, 이는 이들이 일시적으로 성충 활동을 마치고 번식 사이클을 끝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러브버그 성충은 1년에 두 번, 주로 봄과 가을에 짝짓기와 산란을 위해 대량으로 출몰하는데요, 이 시기의 성충은 수명 자체가 매우 짧아, 보통 3~5일, 길어야 일주일 정도밖에 살지 않습니다. 이들은 짝짓기 후 곧바로 알을 낳고 모두 생을 마감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엄청난 개체 수가 눈에 띄었다가 ‘한꺼번에’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때 성충이 짝짓기를 마치면 암컷은 습한 땅속, 낙엽 밑, 썩은 식물더미, 배수구 근처 등 유기물이 풍부한 곳에 알을 낳는데요, 이 알은 보통 2~4일 후 부화하여 유충이 되며, 이 유충은 땅속에서 썩은 유기물질을 먹으며 수개월 이상 조용히 성장합니다. 즉 봄 세대의 유충은 여름 내내 성장하여 가을에 성충으로 출몰하고, 가을 세대의 유충은 겨울을 유충 상태로 땅속에서 월동한 뒤, 다음 해 봄에 성충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성충은 짧은 생을 마치고 빠르게 사라지지만, 그 이전에 이미 다음 세대를 위한 유충 세대가 땅속에서 준비 중이기 때문에 개체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러브버그는 자연 환경뿐 아니라 기온, 습도, 토양 상태, 유기물 분포에 따라 출몰이 크게 좌우되며, 한 번 출현한 지역은 알이 이미 뿌려졌기 때문에, 다음 계절 혹은 다음 해에 다시 출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Q. 스트레스를 받으면 흰머리가 난다는 이유가?
안녕하세요.말씀하신 것처럼 흰머리가 스트레스와 관련 있다는 말은 단순한 속설이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상당 부분 근거가 있는 사실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심한 스트레스가 실제로 머리카락의 색을 결정하는 세포에 영향을 주어 흰머리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결과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흰머리는 모낭(머리를 만드는 기관) 속에서 멜라닌 세포를 만드는 세포에 문제가 생길 경우 발생하는데요,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모낭 속 세포의 색소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분비되는 '아드레날린' 또한 흰머리를 유발하는데요, 아드레날린은 두피에 있는 모근 주변의 혈관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아드레날린으로 인해 혈관이 수축될 경우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멜라닌이 적게 생성되면서 흰머리가 나는 것입니다.
Q. 여름 날파리는 돌아 다니는데 겨울에는 어디서 사나요?
안녕하세요. 질문주신 것처럼 여름철이 되면 부엌, 화장실, 음식물 쓰레기통 근처 등에서 자주 보이는 날파리는 사람에게는 매우 성가신 존재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한 곤충입니다. 날파리라 불리는 곤충들에는 주로 초파리, 배수구파리, 곰팡이 파리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고, 유기물이 풍부한 곳에서 빠르게 번식합니다. 그러나 겨울이 되어 기온이 낮아지고 외부 환경이 건조하고 추워지면 이 날파리들은 단순히 죽는 것이 아니라 눈에 띄지 않는 방식으로 생존을 이어갑니다. 날파리들은 겨울 동안 대부분 실외에서 활동하지 못하며, 대신 실내의 온기가 남아 있는 틈새 공간에서 조용히 살아갑니다. 대표적인 장소는 싱크대나 배수구 내부, 냉장고 아래, 가스레인지 뒤, 욕실의 하수구처럼 따뜻하고 습기가 유지되는 곳인데요, 이러한 환경에서는 날파리들이 성충 상태로 비교적 긴 시간 생존할 수 있으며, 일부는 여전히 번식도 가능합니다. 또한 화분의 습한 흙이나 곰팡이가 핀 유기물에서도 곰팡이파리 유충이 자라날 수 있어, 겨울철에도 날파리의 개체 수가 완전히 ‘0’이 되는 일은 드뭅니다. 또한 일부 날파리 종은 겨울을 성충이 아닌 알, 유충 또는 번데기 형태로 보내며, 대사 속도를 극도로 낮춘 상태로 환경 변화에 저항하는데요, 이렇게 겨울을 버틴 날파리의 유충은 봄이 되어 기온이 상승하면 다시 번데기를 거쳐 성충으로 탈바꿈하며, 여름철에 대량으로 출현하게 됩니다. 야외의 경우, 썩은 식물, 땅속 유기물, 낙엽 밑, 퇴비 더미 같은 곳에서 날파리 유충이 겨울을 나기도 하며, 대부분의 성충은 추위로 인해 사멸합니다.
Q. 러브버그는 언제쯤 사라지고 추울 때는 어떻게 살아남나요?
안녕하세요.러브버그는 이름처럼 짝짓기한 채로 날아다니는 모습이 특징이라 ‘러브버그’라 불리는데요, 외형은 파리와 비슷하며, 주로 여름철에 대량으로 출현해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일반적으로 1년에 두 번, 대량으로 출현하는 계절성 곤충인데요, 첫 번째 성충 세대는 봄철인 4월 말~5월 초, 두 번째는 가을철인 8월 말~9월 초에 주로 나타납니다. 다만, 지역의 기온과 강수량에 따라 출현 시기는 달라질 수 있으며, 미국 남부에서는 봄과 가을에 각각 약 4~5주간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성충은 봄이나 가을에 잠깐 나타나서 짝짓기하고 죽지만,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땅속에서 여름 내내 혹은 겨울 내내 유충으로 생존하며, 다음 해의 출현을 준비합니다. 특히 가을에 알을 낳은 개체들은 그 후 유충 상태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는 식으로 생애 주기를 이어갑니다. 이러한 유충의 월동전략 덕분에 러브버그는 추운 계절에도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으며, 봄이 되면 다시 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러브버그의 성충 수명은 약 3~5일 정도로 매우 짧고, 그동안 짝짓기와 산란이라는 생물학적 임무를 수행한 뒤 모두 죽습니다. 따라서 살아있는 성충이 모두 사라지기 전, 암컷들은 빠르게 산란을 마치고 유충 세대로 번식이 넘어가며, 이 유충 세대가 환경 속에서 다음 세대로 연결되는 구조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Q. 곤충들중에는 암수만 있는 것들이 있는데요. 어떻게 번식을 하나요>? 숫컷도 없는데 어떻게 번식을 하는지 정말 궁슴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보통 대부분의 곤충들은 암컷과 수컷이 따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일부 곤충들 중에는 실제로 암컷만 존재하면서도 번식이 가능한 종들이 존재하는데요, 이들은 일반적인 유성생식(암컷과 수컷이 교미하여 번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번식하며, 일명 단위생식(parthenogenesis)이라는 생식 방식을 사용합니다.단위생식이란 수정 없이, 즉 수컷의 정자 없이 암컷이 스스로 자손을 낳는 방식을 말하는데요, 이 과정에서는 난자가 혼자 발달하여 새로운 개체가 되며, 대부분 암컷 자손이 태어납니다. 이는 수정 없이 암컷의 난자만으로 새로운 개체가 발생하는 번식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유성생식과는 달리 종종 환경 조건이 좋지 않거나 짝짓기가 어려울 때 유용하며, 유전적 다양성 확보에 유리한 유성생식과 번갈아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식을 진행하는 대표적인 곤충으로는 '진딧물'이 있는데요, 봄과 여름에는 암컷만으로 빠르게 증식하며 날씨가 좋을 때는 단위생식을 통해 수백 마리의 자손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후 환경이 나빠지면 수컷이 생겨나고 유성생식으로 전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