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청년들이 취업을 꺼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요즘 청년들이 취업을 꺼리는 현상은 복합적인 사회 경제적 요인들이 얽혀 나타나는 현상인듯합니다.청년들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높은 임금, 안정적인 고용, 좋은 복지)는 한정되어있습니다. 반면, 실제 취업 시장에는 저임금, 고강도 노동 ,불안정한 고용형태(비정규직, 계약직)의 일자리가 많습니다. 또한 노력대비 낮은 보상, 고용 불안정성 증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임금, 복지, 근무 환경 격차가 워낙 커서 눈높이를 낮추기보다는 차라리 취업을 유보하거나 대기업 합격을 위해 재수를 선택하는 경향도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과거에는 일이 곧 삶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요즘 청년들은 일과 개인의 삶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야근, 주말 근무가 잦거나 개인 시간이 부족한 직업을 기피하고, 자신의 취미나 여가, 자기 계발에 시간을 투자하려는 욕구가 강합니다. 단순히 돈 버는 것을 넘어 자신이 하는 일에서 의미를 찾고 만족감을 얻고싶어합니다.취업만이 성공의 유일한 경로라는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나 유튜버, 인플루언서, 독립 창작자, N잡러 등 다양한 형태로 경제 활동을 하고자하는 욕구가 커졌습니다.부모나 사회가 요구하는 좋은 직장에 대한 기준이 높다보니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할 바에야 차라리 취업을 미루거나 다른 길을 찾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청년들의 취업률 저조는 단순히 개인의 나태함이나 선택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할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Q.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잘돠면 우리나라의ㅡ이득은?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제작사는 일본 소니, 배급사는 미국 넷플릭스이므로 직접적인 흥행 수익은 이들 회사와 고나련자들에게 돌아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이 이 작품의 흥행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이유와 간접적인 이득 가능성이 있기때문입니다.K-POP이라는 키워드가 애니매이션이라는 다른 장르와 결합하여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노출된다는 것 자체가 K-POP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일입니다. K-POP팬이 아닌 사람들이 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K-POP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단순한 음악장르를 넘어 캐릭터, 스토리텔링 등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됩니다. 애니메이션을 통해 K-PO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실제 K-POP 그룹의 음반, 굿즈, 콘서트 티켓 판매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K-POP에 대한 관심은 한국 드라마, 영화, 웹툰 등 다른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고, K-POP과 한국 문화에 대한 호감은 한국 방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고 한국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또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며 장기적으로 한국 제품 및 서비스의 수출 증대, 국가 브랜드 가치 상승 등으로 이어질 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