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인사말
증권투자상담사/USCPA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 전략, 기획, M&A, 세무(글로벌 세무 포함) 등
전문가 소개
이름
민창성
소속
Hansae
직무/직책
매니저/수석
활동 중인 토픽
경제
경제정책
경제동향
경제용어
예금·적금
주식·가상화폐
대출
자산관리
활동 지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대문구
영등포구
연락처 및 SNS
이메일
mcs053@naver.com
SNS
회사(법인) 소개
아직 회사(법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았어요.
아하 답변 활동
전체 보기
경제동향
약 23시간 전 작성 됨
Q.
금리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interest rate)는 여러 용어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구수익률, 리스크의 크기, 조달 비용 등입니다. 금리가 높으면 당연히 기업 입장에서는 조달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일반 개인은 대출 금리 등이 높아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게 됩니다. 기업의 투자가 없거나 줄어들면 일자리 창출도 더디고 개인의 소비 지출은 정체 또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시중에 유동성도 부족해 부동산이나 주식 투자도 줄어들어 가격이 하락합니다. 고금리 하에서는 전반적으로 경제의 활력도가 떨어지는 이유입니다.
주식·가상화폐
1일 전 작성 됨
Q.
코인 송금할때 가장 가스비가 적게 나오는것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에는 말씀대로 이더리움 보다는 BNB, 솔라나, 폴카 같은 코인들의 가스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속도도 이더리움 보다 더 빠른 감이 있는데 가스비는 해당 네트웍의 혼잡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1일 전 작성 됨
Q.
채권과 주식은 거꾸로 라고 하는데 실제 주식과 채권 etf는 반대가 아니더라구요. 어떤 관계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채권은 안전 지향 상품이고 주식은 보다 위험한 금융 자산으로 인식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래에는 최고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도 단기채 금리가 장기채 금리를 역전하는 현상이 작년 빈번하게 일어 났습니다. 여기서 채권의 가격은 금리와 반대입니다. 금리가 높으면 채권 가격은 떨어지는 것인데 미래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면 장기채 가격이 상승하며 금리가 내려가는 것입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채권 ETF의 기초자산의 채권 기간(duration)에 따라 주식과의 방향성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식의 변동성이 크다면 단기채를 주로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일 가능성이 크고 장기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는 주식 가격과 반대로 움직여 헷징 기능을 할 듯합니다. 쉽게 말씀 드려 펀드에서 주식과 채권 비중을 조절하여 안정형 펀드인지 공격적인 펀드인지 결정하는데 대부분 주식 비중이 높은 펀드를 공격적인 펀드라고 합니다. 물론 채권 중에도 고위험채권(NPL)이 있을 수 있으나 NPL 채권 시장은 별도로 보셔야 합니다.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