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철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철순 전문가입니다.
박철순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약·영양제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6일 작성 됨
Q.
복막염은 맹장염이랑 관련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관련이 많이 있습니다.맹장에 염증이 생기면 맹장염이라고 하는데, 그대로 두어서 맹장이 터지면 복막에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이것을 복막염이라고 하니, 많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1년 12월 4일 작성 됨
Q.
무릎이 안좋으면 어떻게 운동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비만은 아니라고 하니, 허벅지 근육(대퇴사두근)을 강화시키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는 가장 좋은 운동은 의자에 앉아서, 양 발을 공중에 뛰운 후 슬관절을 신전 시키는 방법으로 부하를 주는 것입니다. 한글 "ㄴ" 형태가 되겠지요?생각보다 허벅지 근육이 뻐근한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그외에도 자전거 타는 운동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1년 12월 3일 작성 됨
Q.
허리염증이 허리 디스크로 이어질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허리 디스크라고 하는 병은, 허리에서 나오는 신경이 주변조직에 압박을 받아 염증이 생겼을때 발생합니다.주요 증상은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인데요.. 이 하지 방사통의 여부가 디스크 증상 판단에 굉장히 중요합니다.위에 적혀진 내용을 봤을때, 하지로 내려가는 신경압박증상(다리가 찌릿합)이 없는 것으로 보아 단순 허리 근육통증으로 보입니다. 자세한건 근처 한의원이나 병원에 내원해서 진료받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ㅣ
정형외과
2021년 12월 3일 작성 됨
Q.
관절약을 사 드릴려고 하는데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관절약이라고 하면, 보통 진통 소염제 위주가 대부분입니다.통증이 심해서 잠을 못 잘 정도면 복용하시되, 복용해도 3개월 이상 통증감소 효과가 없으면 중지하는 것이 좋습니다.효과도 없는데 장복했다가 위장만 상할 위험이 있기 떄문입니다.또한 관절약의 경우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못합니다. 무릎 관절통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체중입니다.체중을 줄이시고 허벅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근본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1년 12월 3일 작성 됨
Q.
교통사고후 한방 물리치료 효과가 일반 물리치료보다 나은가요?
안녕하세요. 한의원에서 하는 물리치료를 한방 물리치료하고 생각하시는것 같은신데요, 한방 물리치료라고 해서 다른 양방 물리치료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각각 병원마다 사용하는 기계가 다를 뿐이지요. 받고 싶은 물리치료가 있다면, 병원에 문의하시면 잘 알려줄 것입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1월 26일 작성 됨
Q.
눈밑이 파르르 떨리는데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대부분 눈밑이 떨리는 현상은 피로와 스트레스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그밖에 각종 미네랄 부족으로도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 할 수 있고, 아주 드물게 뇌 병변으로 증상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뇌병변으로 증상이 발생한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겠지요.
정형외과
2021년 11월 26일 작성 됨
Q.
허리에 스테로이드 주사 안좋나요?
안녕하세요.허리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으면, 순간 통증 완화에는 좋은데 추천하지는 않습니다.결국 근본 치료는 되지 않고 통증만 잠시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 뿐입니다. 그리고 스테로이드의 경우 엄격하게 횟수를 제한해서 투여해야 하는 만큼 위험한 약물입니다.혈압과 혈압 상승 및 면역력이 저하 될수 있으므로, 차라리 스테로이드가 아닌 다른 주사 치료를 권장합니다.물론 한의원에서 침 치료도 효과가 좋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1년 11월 22일 작성 됨
Q.
뇌졸중, 어느 계절에 많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뇌졸중은 과거에는 기온이 낮은 겨울이나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졌었는데요.최근에는 계절과 상관없이 발생하며, 개인적인 인자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주요한 요인으로는 당뇨나 고혈압이 있으며,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큰 예방법은 금주 및 금연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입니다.
내과
2021년 11월 19일 작성 됨
Q.
고혈압을 없애는 방법이 잇을까요?
안녕하세요.일단 혈압이 높은 경우 체중감소와 운동으로 혈압을 조절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근본으로 치료하는 방법이겠지요.하지만, 이것으로도 조절이 안된다면 혈압약으로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우리 몸에 훨씬 이롭습니다. 그리고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유전적으로 혈압이 높은 분도 있습니다. 이런경우는 혈압약을 복용해야 겠지요.
정형외과
2021년 11월 19일 작성 됨
Q.
관절염이 있는데 많이 걷는것이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일단 무릎 관절염에 걷는것, 즉 운동은 도움이 된다는 것은 맞습니다.아무리 심한 무릎관절염이 있어도, 어느정도 운동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논문과 데이타로 증명이 된 이야기입니다.)운동의 강도가 중요한데요. 어느정도 운동을 하시냐면, 걷다보면 딱 아프기 전까지 걸으세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