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AWS 클라우드에서 버킷의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준영 정보처리기사입니다.버킷(Bucket)은 데이터 저장장소 입니다 그러므로DB 자체를 설치해서 실행은 불가능 합니다 저장만 가능합니다버킷(Bucket)이란? - 컴퓨터의 폴더와 비슷해 보이지만, 약간 다릅니다폴더: 컴퓨터에서 파일을 계층적으로 정리하는 구조.버킷: S3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지만, 사실은 평평한 구조(계층이 없음).버킷의 주요 특징 - 데이터 저장 장소 - 폴더”처럼 보일 뿐이다 S3에서는 폴더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파일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 체계 일 뿐입니다 - 데이터를 어디서든 접근 가능 - 파일에 URL 주소가 생김버킷에 “데이터베이스(DB)“를 설치할 수 있을까?아니요, 버킷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관함”이지, 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나 소프트웨어)을 실행할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하지만 버킷을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DB 백업을 저장: 사내 시스템(DB)의 데이터를 백업해서 S3 버킷에 저장데이터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가 사용하는 파일(예: 로그 파일, 보고서)을 저장.기타 용어 설명!S3 버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USB 드라이브나 클라우드 저장소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엑셀 파일같은 프로그램RDS: AWS에서 엑셀 파일을 대신 관리해주는 서비스EC2:가상 컴퓨터(서버)로, 여기서 엑셀을 직접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음.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RDS나 EC2를 활용하세요
Q. 공공 기관에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있으면 어느 정도 추가 점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준영 정보처리기사입니다.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공공기관 및 공기업 취업 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다만, 가산점 부여 기준은 기관마다 상이하므로, 지원을 희망하는 기관의 채용 공고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예시:한국전력공사: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소지 시 서류전형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인천국제공항공사: 기사 자격증 보유 시 3~5%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주택관리공단,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관광공사 등: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소지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합니다.이처럼 기관마다 가산점 부여 비율과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원 전에 해당 기관의 최신 채용 공고를 통해 정확한 가산점 부여 기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