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AWS 클라우드에서 버킷의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준영 정보처리기사입니다.버킷(Bucket)은 데이터 저장장소 입니다 그러므로DB 자체를 설치해서 실행은 불가능 합니다 저장만 가능합니다버킷(Bucket)이란? - 컴퓨터의 폴더와 비슷해 보이지만, 약간 다릅니다폴더: 컴퓨터에서 파일을 계층적으로 정리하는 구조.버킷: S3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지만, 사실은 평평한 구조(계층이 없음).버킷의 주요 특징 - 데이터 저장 장소 - 폴더”처럼 보일 뿐이다 S3에서는 폴더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파일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 체계 일 뿐입니다 - 데이터를 어디서든 접근 가능 - 파일에 URL 주소가 생김버킷에 “데이터베이스(DB)“를 설치할 수 있을까?아니요, 버킷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관함”이지, 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나 소프트웨어)을 실행할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하지만 버킷을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DB 백업을 저장: 사내 시스템(DB)의 데이터를 백업해서 S3 버킷에 저장데이터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가 사용하는 파일(예: 로그 파일, 보고서)을 저장.기타 용어 설명!S3 버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USB 드라이브나 클라우드 저장소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엑셀 파일같은 프로그램RDS: AWS에서 엑셀 파일을 대신 관리해주는 서비스EC2:가상 컴퓨터(서버)로, 여기서 엑셀을 직접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음.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RDS나 EC2를 활용하세요
Q. 공공 기관에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있으면 어느 정도 추가 점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준영 정보처리기사입니다.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공공기관 및 공기업 취업 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다만, 가산점 부여 기준은 기관마다 상이하므로, 지원을 희망하는 기관의 채용 공고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예시:한국전력공사: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소지 시 서류전형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인천국제공항공사: 기사 자격증 보유 시 3~5%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주택관리공단,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관광공사 등: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소지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합니다.이처럼 기관마다 가산점 부여 비율과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원 전에 해당 기관의 최신 채용 공고를 통해 정확한 가산점 부여 기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 정보처리 기사 시험을 보기 위한 학점 은행제는 얼마나 취득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배준영 정보처리기사입니다.정보처리기사 시험에 응시하려면 일반적으로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학점은행제를 통해 필요한 학점을 이수하면 응시 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학점은행제를 통한 정보처리기사 응시 자격 요건:106학점 이상 이수: 학점은행제를 통해 총 106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합니다.전문대 졸업자의 경우: 전문대 졸업자는 이미 취득한 학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년제 전문대 졸업자는 최대 80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으며, 추가로 26학점을 이수하면 됩니다.3년제 전문대 졸업자의 경우: 3년제 전문대 졸업자는 최대 120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으며, 추가로 학점은행제를 통해 18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학점 취득 방법:온라인 강의 수강: 학점은행제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를 통해 학점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한 학기당 최대 24학점까지 이수 가능하며, 1년에 최대 42학점까지 취득할 수 있습니다.자격증 취득: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관리사 2급이나 컴퓨터활용능력 1급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면 각각 일정 학점이 부여됩니다.독학사 시험 합격: 독학사 시험에 합격하면 과목당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1단계는 과목당 4학점, 2~4단계는 과목당 5학점이 부여됩니다.주의사항:학점은행제를 통해 취득한 학점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등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학점 취득 후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을 통해 학점을 등록해야 합니다.정보처리기사 응시를 위해서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취득한 106학점 중 최소 18학점 이상을 학점은행제 과목으로 이수해야 합니다.학점은행제를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정보처리기사 응시 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자신의 최종 학력과 현재 상황에 맞게 학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자바 스크랩트를 잘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하우가 있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배준영 정보처리기사입니다.재미있게 공부하는 게 중요할 것 같네요!1. 기초 개념부터 시작HTML, CSS 기초 이해자바스크립트는 웹페이지와 함께 사용되므로 HTML과 CSS의 기본 개념을 알고 있으면 좋아요.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변수: let, const, var조건문: if, else반복문: for, while함수: function 정의와 사용이벤트: 버튼 클릭이나 사용자 동작 처리쉽고 친근한 자료 찾기무료 강의: 생활코딩 JavaScript 강의입문서: "You Don’t Know JS (입문 편)" 추천2. 실습 위주로 학습하기작은 프로젝트부터 시작하기간단한 계산기 만들기버튼을 눌렀을 때 색상이 바뀌는 페이지 만들기간단한 게임 (예: 가위바위보, 숫자 맞추기)온라인 실습 사이트 활용CodePenJSFiddleReplit에러가 나면 검색: "JavaScript [오류 메시지]"로 구글 검색하면 해결책을 찾기 쉽습니다.3. 배우는 걸 재미있게 만들기게임처럼 배우기JavaScript 게임 튜토리얼간단한 퀴즈 앱 만들기 (여기서 배운 걸 써보세요!)실제 웹페이지의 코드 확인원하는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개발자 도구 (F12) 열어서 JavaScript 코드를 확인해보세요."이 버튼은 어떻게 작동하지?"라는 궁금증을 해결하면서 배울 수 있어요.4. 커뮤니티 활용질문이 생기면 물어보세요!Stack Overflow네이버 카페나 디스코드 프로그래밍 관련 그룹자바스크립트를 배우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는 것도 좋아요.5. 꾸준히 연습하루에 30분이라도 꾸준히 코딩해보세요.학습한 것을 기록으로 남기고 (예: 블로그, GitHub), 복습하세요.TIP: 무조건 "다 알아야 한다"는 부담감을 버리고, 작은 성취감을 쌓아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질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