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신광현 전문가
육군
Q.  보조배터리 과충전을 못하게 하는 기술은 어떤 기술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1. 보호 회로(PCM; Protection Circuit Module)과전압 차단배터리 셀 전압이 설정된 안전 임계치(예: 4.2 V)를 초과하면 내부 반도체 스위치(MOSFET 등)를 오프하여 충전을 즉시 차단합니다.과전류 차단충·방전 중 과도한 전류(쇼트나 급격한 전류 변화)가 흐르면 전류 감지 저항(Rs) 값을 모니터링하여 일정 이상일 때 회로를 차단합니다.온도 보호셀 온도가 지정 범위(예: –20 °C~60 °C)를 벗어나면 온도 센서가 감지하여 충·방전을 정지시킵니다.2.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보다 정밀한 제어와 셀 밸런싱 기능을 제공하며, 다중 셀 배터리 팩에서 각 셀을 균등하게 관리합니다.전압 모니터링 및 셀 밸런싱각 셀 전압을 실시간 측정해 일정 편차 이상인 셀의 충전 전류를 소모하거나 방전시켜 전체 팩의 전압을 균일화합니다.충전 알고리즘(CC–CV 방식)Constant Current(CC): 지정 전류로 충전Constant Voltage(CV): 설정 전압(예: 4.2 V) 도달 시 전류 감소 후 종료이 과정에서 CV 단계에서 전류가 매우 낮아지면 충전을 자동 중단해 과충전을 방지합니다.상태 예측 및 보호 로직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를 계산해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며, 이상 징후 시 충전을 제한하거나 차단합니다.현대 보조배터리는 보호 회로(PCM)와 BMS를 결합해 전압·전류·온도를 정밀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예전처럼 장시간 충전 시 발생하던 과충전 화재 위험을 효과적으로 차단합니다. 이러한 기술 덕분에 사용자는 충전 완료 후에도 자동으로 차단된 충전 회로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요새 날이 덥다보니 에어컨이랑 선풍기는 무조건 틀게 되는데 정전 걱정 안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전력 수급 전망– 올여름 피크 수요 약 95~96GW, 발전 설비 용량 ≈110GW– 예비율 7~8%로 안전 기준(6%) 상회 → 대규모 정전 가능성 낮음수급 관리– 한전 24시간 모니터링·발전기 추가 가동·수요반응(DR) 프로그램 운영개인 절전 요령에어컨: 실내온도 25~27℃, 필터·코일 2주마다 청소, 절전·제습 모드 활용선풍기 병행 사용: 에어컨 온도 1~2℃ 올려도 체감 시원가전 운전 시간 분산: 피크(오후 2~5시) 피해서, 심야 예약 운전대기전력 차단: 멀티탭·스마트 플러그로 완전 차단주거 환경 개선: 커튼·블라인드, 문풍지·실리콘으로 단열 강화DR 요금제 가입: 피크 사용 줄이면 요금 할인추가 정보– 실시간 전력 수급·예비율: 한전 전력통계시스템(KEPCO 홈페이지) 조회 가능
Q.  전자제품의 연식이 좀 되면 전력 소비량이 더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구형 가전은 사용 시간이 늘면서 단열 성능 저하, 부품 마모, 냉매 누설 등으로 초기 대비 전력 소모가 증가합니다.냉장고: 운전 2년 후 약 11%, 16년 후 평균 27%까지 소비전력 상승 할 수 있습니다.에어컨: 냉매 누설·컴프레서 효율 저하·필터·열교환기 막힘으로 가동 시간이 길어져 전력 소비 전기합니다.전기 히터: 저항 발열 방식이라 성능 저하는 적으나, 제어부 이상 시 소비전력 상승 가능합니다.절감 방안: 정기 청소·점검(도어 개스킷·필터·열교환기), 냉매 보충, 냉장고 10–15년·에어컨 15년 교체 권장합니다.
Q.  테이져건 잡는 사람은 왜 전기가 안 통하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첫번째로 전류의 흐름 경로테이저건은 발사된 두 개의 전극(프로브) 사이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브가 피실험자의 몸에 박혀야만 회로가 완성되고 전류가 순환합니다.또낮은 전류량테이저건이 대상에게 전달하는 평균 전류는 약 1.2~3mA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가정용 전등(약 156mA)보다 수십 배 낮은 수치로, 회로가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감전되기 어려운 수준입니다.이처럼 전류가 오직 두 프로브 사이에서만 흐르도록 경로를 제한하고, 본체와 와이어를 철저히 절연하며, 낮은 전류량을 유지함으로써 시연 중 보조자가 전기 충격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Q.  철봉의 높이가 높을수록 매달리는 힘이 달라지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물리적 관점매달릴 때 팔과 어깨를 통해 지탱해야 하는 하중은 자신의 몸무게 mg와 같으며, 철봉이 높거나 낮다고 해서 달라지지 않습니다.철봉의 높이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