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비보험 꼭 필요할까요? 계속 오르니 부담스럽네요
안녕하세요. 심성근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은 주식이나 도박과 같은 사행성 상품입니다. 주식이나 도박에서 종목선택과 적절한 타이밍과 베팅액의 크기가 중요한 것처럼보험도 주계약과 특약을 선택할 때 자신에게 꼭 맞는 보장을 선택해야 하고 가장 적합한 가입시기에 가입해야 하며 보험료도 적절히 분배해야 합니다.필수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건 가장이라면 유고시 남은 가족을 위해 종신보험이 있어야 하고 본인을 위해서는 암 심장 뇌에 대한 진단금과 수술비와 치료비가 있어야 합니다. 실비보험은 단독실비로 따로 준비하고 있어야하고 가입시기는 56세 전에 준비하는게 좋은데 건강상태에 따라 일찍 가입하기도 합니다.종신보험은 살아서든 죽어서든 100%타는거기 때문에 준비하는 것이 좋은데사망시에는 유족이 받을 수 있고생존시에는 본인이 받으면 됩니다.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하면 해지 환급금을 받거나 연금으로 전환해서 평생 받을 수 있고 낸 보험료보다 더 많이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저축이라 생각하고 보험료를 납부하면 됩니다.암심장뇌 진단금은 5대 3대 2가 적절하고 가족력에 따라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젊어서 가입하실 땐 무해지환급형비갱신형으로 일정기간 납입하고 더 이상 보험료 안내고 평생보장 받는걸로 준비하는 것이 좋은데 기본적인 수준만 해서 적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면 위험도가 낮은 시기에 큰보장을 들고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기본적인 것만 갖추고 있다가 암발병률이 높아지면 갱신형으로 추가로 가입하는데 이를 복층설계라고 합니다. 이 때쯤되면 의료기술이 발달되서 예전에 가입한 걸로는 1원도 보장받을 수 없는 수술이나 치료기법들이 나오는데 이 때 추가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심장과 뇌에서 뇌출혈 급성심근경색 진단금은 사실 가족들에겐 의미가 있지만 정작 본인에게는 크게 의미가 없는건데 왜냐면 그 지경되면 돈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 전에 이런 일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암발병은 의술로 막기 어려워도 뇌출혈, 급성심근경색은 어느정도 미리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나라에서 2년에 한번씩하는 검진만 잘받고 약먹고 시술하면서 평생 뇌출혈 심근경색까지 안가도록 관리해야 합니다.뇌, 심장 보장은 일단 기본만 들고 가다가 위험도가 높아지는 연령대가 되거나 위험을 느끼면 미리 가입하면서 이것도 복층설계로 준비하는 것이 좋 습니다.심장뇌는 수술비를 잘 준비해야하는데 로봇방사능치료는 피가 안나기 때문에 수술로 인정안해주는 보험들도 있습니다. 이런 시술들과 내시경수술, 카테터 등을 이용한 경피적 수술도 수술비를 받을 수 있는 곳에 가입해야 합니다.수술비를 1회만 주는 곳도 있고 횟수를 제한하는 곳도 있는데 수술비를 횟수 제한 없이 반복적으로 주는 곳도 있습니다. 혈관 넓혀주는 스텐트삽입술이나 터지는곳 막아주는 코일색전술 같은 것은 반복적으로 수술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술비는 횟수제한 없이 반복적으로 지급하는 곳에 가입해야합니다.특히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아서 분쟁이 많은 부분이 로봇수술과 경피적 수술인데 그 이유는 약관에 수술이란 생체를 절개절단해서 조작하는 것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최신의료기술도 수술로 인정한다고 약관에 기록되어 있지만 로봇수술과 내시경수술, 경피적 수술에 대해서는 아직도 분쟁이 많습니다.그래서 사이버나이프, 감마나이프, 내시경 경피적 수술이라는 단어가 약관에 명시된 곳에 가입하는 것이 확실합니다.결론적으로 보험은 나이와 건강상태 가족들을 고려해서 받을 보장의 폭과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그리고 또하나 중요한 건 보험료납입기간과 보장기간이 끝났을 때 어떤 결과가 오더라도 만족할 수 있는 상태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며마지막으로,저축했을 때와 보험료로 냈을 때 어떤 것이 더 이득일지 고려해서 설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