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인들의 감수성은 일반인들과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시인을 포함한 작가들의 감수성은 일반인과 사실 다르지 않습니다.다만 작가들은 감수성을 예민하게 끌어내는 방법을 잘 알고 있는 듯 합니다. 그것이 보통 감수성이 남다르다고 표현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똑같은 나무를 바라보았을 때 보통의 사람들이 나무가 울창하네, 멋있네 등 피상적인 모습을 보고 표현한다면, 작가들의 경우 그것을 한번 꼬아서 보고 생각하여 나무가 온 팔을 벌려 하늘을 가리네 퍼렇게 벌거벗은 하늘의 부끄러움을 감줘주려나 등으로 확장해서 생각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는 것입니다.누군가는 그렇게 타고 난 것이 아닌가요? 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저의 생각으로는 어떤 계기가 되어서인지 사물을 바라보는 생각을 다양하게 하게 되었고 그것을 쓰게 됨으로써 더 다양하고 예민하게 감수성을 끌어내고 표현할 수 있는 훈련을 해온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Q. 율리시스는 현대 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는 언어의 재탄생을 선언한 충격적인 작품으로 소개되는 작품입니다. 문학사적으로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작품이라고 알려져있지만, 포스트 모더니즘과 후기 구조주의 등 철학적 패러다임을 잘 수용하여 고전 중의 최고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언어, 문체, 서술 형태를 인물의 지적 수준과 성격에 맞게 달리 표현되어있습니다. 신문기사처럼 글이 짜깁기 되어있는 장도 있고, 14장에서는 30여 문단이 영국문학사의 각 시기를 대표하는 작가의 문체 모방을 구성되어있기도 하고, 15장에서는 300페이지가 넘게 희곡의 형태로 만들어져 각 장의 내용에 가장 잘맞는 형태의 문학으로 구성하는 실험적인 시도를 하였습니다. 모더니즘이 내새우는 '새로움'의 시대정신이 제임스 조이스를 거쳐 오늘날까지 그 창조적 영향력이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충격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