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즘 유행하는, 소설 장르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최근 소설의 트랜드는 복합 장르가 많습니다. 현실과 판타지가 결합되어있고, 타임슬립에 대한 내용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단정지어 SF 판타지물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합니다. 현실의 문제와 과거를 연결시켜 결국에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복합 장르라고 밖에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시, 희곡, 소설 등의 형태적 장르도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환경과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있어 새로운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를 통해 주제, 스타일도 새롭게 창조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저는 전통 추리 소설을 좋아한답니다. ㅎㅎ
Q. 국어 고전시가 모르는 문제........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ㄱ)작은 정자는 초라한 정자이지만 멋진 자연 속에 있는 그대로로 삼은 무릉도원 못지 않은 공간이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어 안분지족의 삶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ㄴ) 옛 망양정 자리가 도로공사로 인해 허리가 잘려나가 시야에서는 확인할 수 없으나 겸재의 화폭에서 그 실경산수가 새겨져있기에 옛 정자가 사라져 버렸어도 허전하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은 작은 정자는 자연이 만들어낸 것이고, 망양정은 글쓴이가 그림을 보고 지역을 찾아간 것이니 틀린 것이고, (2)는 작은 정자가 현실에서 명예를 실현하려는 것이 아니라 안분지족의 삶을 나타낸 것인 것만 봐도 틀린 것이고 , (4)은 두 공간은 유용성의 문제가 아니므로 내용 자체가 틀린 것이고, (5) 앞의 내용은 자신의 삶을 가다듬는 것이라 볼 수 있으나 망양정에 대한 것은 자신의 삶을 비판하기 위한 계기가 아니라 사라졌으나 옛 그림에 자리하고 있으므로 허전하지 않다는 다행, 만족을 느낄 수 있으니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글의 내용에서 명확하게 표현되어져 있는 것인 (3)이 정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Q. 문학 작품 속에서 '집'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학에서 '집'은 원래 의미인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주거지라는 의미 외에 주인공의 삶과 내면, 가족-사회와의 관계, 자아의 안식처 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닙니다.집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면,먼저 안식처와 보호라는 의미의 집은 주인공이 안전과 위안을 얻는 공간으로, 현실의 고통이나 불안에서 벗어나 쉴 수 있는 장소로 제시됩니다.가족과 소속감의 상징적 의미로의 집은 가족, 가족애, 소속감 등 인간관계의 본질을 상징하며, 때로는 가족 간의 갈등이나 성장의 배경이 되기도 합니다.자아와 성장의 공간으로서의 집은 주인공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성장하는 내면의 공간으로 화단, 화분과 같은 주어진 환경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헤르만 헤세의 에서 집은, 작가가 실제로 머물렀던 스위스의 몬타뇰라 언덕에 있는 '카사 카무치'는 주인공의 내면세계와 창작의 공간으로 묘사됩니다. 에드거 앨런 포의 에서 나오는 집은 주인공이 가지는 공포와 불안, 과거와의 대면을 상징하는 장치로 사용되었습니다. 조지 엘리엇의 에서 나오는 유령이 나오는 집은 주인공의 과거와 상처, 성장의 매개가 되는 공간으로 묘사됩니다. 더 많은 작품들에서 '집'이라는 공간이 상징적 배경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그것의 대부분은 주인공이 가지는 성격, 성향의 배경, 사건의 발단, 극복의 대상 등으로 포석되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mbti가 과학적으로 완벽히 검증된 도구가 아닌데 성격파악이나 관계 형성에 자주 사용하능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는 농업대학을 졸업한 소설가 캐서린 쿡 브릭스(Katharine C. Briggs)와 캐서린의 딸이자 정치학을 전공한 미스터리 소설가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 Myers)가 카를 융의 초기 분석심리학 모델을 바탕으로 1944년에 개발한 자기보고형 성격 유형 검사로, 사람의 성격을 16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습니다.처음 우리나라에서 유행했던 이유를 공교육 때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2010년대 초부터 전국초중고에서 개인성향테스트, 자유학기제, 진료상담 등에서 활용함으로써 이것이 트랜드가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 이러한 간단한 테스트로 서로의 성격을 말하고 이야기하다보니 재미있고, 그것을 통해 새롭게 소통거리가 늘어 많이들 논하게 되었다 봅니다. 실질적으로 누군가의 성향을 규정할 수 있는 근거는 되지 않지만 재미로 본다고 보시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고 봅니다.
Q. I am a boy 와 I am boy 차이 a 의 역할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I am boy는 올바른 영어 문장이 아닙니다. I am a boy로 써야 합니다. 셀 수 있는 앞에는 a, an과 같은 부정관사 또는 the와 같은 정관사를 붙여주어야 합니다. 'a 나 an'과 같은 부정관사의 경우에는 특정되지 않은 대상을 의미하고 'the'과 같은 정관사의 경우에는 나와 상대방이 인지하고 있는 특정 대상을 의미합니다. 위의 문장을 예로 들면, I am a boy는 '나는 소년입니다' 라고 하는 내가 남자 아이라는 것을 일반적으로 말하는 것이고, I am the boy는 '내가 그 소년입니다' 라고 하는 상대방과 대화하고 있을 때 언급된 그 남자 아이라는 것을 특정하고 확인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