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진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우 전문가입니다.
이진우 전문가
미래에셋금융서비스

인사말
인사말보험설계사 이진우입니다.
전문가 소개
이름
이진우
소속
미래에셋금융서비스
활동 중인 토픽
보험
의료 보험
상해 보험
저축성 보험
재산 보험
자격증
보험설계사 자격증
활동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노원구
동작구
연락처 및 SNS
카카오톡
회사(법인) 소개
미래에셋금융서비스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411 (서초동)
아하 답변 활동
의료 보험
의료 보험 이미지
Q.  정신과 상담 실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진우 보험전문가입니다.A. 정신과 치료 및 상담은 실비보험으로 보장되는지는 보험 약관과 치료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정신과 진료비, 치료 목적 상담(질병 치료 목적), 입원 치료, 검사비(MRI, 뇌파 검사 등), 약 처방(우울증, 불안장애 등 치료 목적)은 일반적으로 실비청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심리상담센터 등에서 진행하는 상담과 같은 비의료적인 심리 상담(자기계발, 스트레스 해소)은 실비청구가 불가능합니다.
저축성 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Q.  채권에 목돈을 넣놓고 월이자를 받으면 적금보다 낫나요?
안녕하세요. 이진우 보험전문가입니다.A. 우선 채권은 정부 및 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증서이며 적금은 일정 금액을 매달 저축시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수령하는 저축 상품입니다.채권 금리는 기본적으로 은행 이자보다 높으며 채권 가격이 오르면 (금리 변동에 의하여)시세 차익도 노려볼 수 있지만 채권을 직접 투자하는 것은 개인이 하기에 어렵고 채권 매수 금액도 예, 적금에 비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하여 적금, 예금 금리는 상대적으로 낮고 확정 금리 또는 변동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수령합니다. 이에 채권은 만기 전에 매도시 시장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적금은 중도 해지시 이자만 줄어드는 패널티로 중도 해지시에는 적금이 유리한 모습을 보입니다. 이에 안정성과 원금보장을 추구하신다면 예, 적금을, 수익성을 추구하시면 채권을 직접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의료 보험
의료 보험 이미지
Q.  나이가 60세이상이나 65세 넘어가도 건강보험은 내나요?
안녕하세요. 이진우 보험전문가입니다.A. 우선 국민건강보험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며 의료비 중 급여 부분에 대하여 의료비를 지원해주고 있으며 보험료는 소득 및 재산에 따라 다르게 부과됩니다.은퇴 후에도 계속 납부해야 하는지를 여쭤보시는 것 같은데 직장가입자는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며, 계속 납부해야 합니다. 다만, 만 65세 이후 기초연금을 받거나, 건강보험 피부양자(자녀의 직장보험에 등록)로 등록되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건강보험료를 안 내도 되는 경우1)본인이 직장을 다니지 않고, 배우자나 자녀의 직장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될 경우2)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일부 대상자는 보험료 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