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신과 상담 실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진우 보험전문가입니다.A. 정신과 치료 및 상담은 실비보험으로 보장되는지는 보험 약관과 치료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정신과 진료비, 치료 목적 상담(질병 치료 목적), 입원 치료, 검사비(MRI, 뇌파 검사 등), 약 처방(우울증, 불안장애 등 치료 목적)은 일반적으로 실비청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심리상담센터 등에서 진행하는 상담과 같은 비의료적인 심리 상담(자기계발, 스트레스 해소)은 실비청구가 불가능합니다.
Q. 채권에 목돈을 넣놓고 월이자를 받으면 적금보다 낫나요?
안녕하세요. 이진우 보험전문가입니다.A. 우선 채권은 정부 및 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증서이며 적금은 일정 금액을 매달 저축시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수령하는 저축 상품입니다.채권 금리는 기본적으로 은행 이자보다 높으며 채권 가격이 오르면 (금리 변동에 의하여)시세 차익도 노려볼 수 있지만 채권을 직접 투자하는 것은 개인이 하기에 어렵고 채권 매수 금액도 예, 적금에 비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하여 적금, 예금 금리는 상대적으로 낮고 확정 금리 또는 변동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수령합니다. 이에 채권은 만기 전에 매도시 시장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적금은 중도 해지시 이자만 줄어드는 패널티로 중도 해지시에는 적금이 유리한 모습을 보입니다. 이에 안정성과 원금보장을 추구하신다면 예, 적금을, 수익성을 추구하시면 채권을 직접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나이가 60세이상이나 65세 넘어가도 건강보험은 내나요?
안녕하세요. 이진우 보험전문가입니다.A. 우선 국민건강보험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며 의료비 중 급여 부분에 대하여 의료비를 지원해주고 있으며 보험료는 소득 및 재산에 따라 다르게 부과됩니다.은퇴 후에도 계속 납부해야 하는지를 여쭤보시는 것 같은데 직장가입자는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며, 계속 납부해야 합니다. 다만, 만 65세 이후 기초연금을 받거나, 건강보험 피부양자(자녀의 직장보험에 등록)로 등록되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건강보험료를 안 내도 되는 경우1)본인이 직장을 다니지 않고, 배우자나 자녀의 직장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될 경우2)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일부 대상자는 보험료 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