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1년 근무하면 퇴직금을 받나요?
애플과 에픽게임의 분쟁이 성립이 되는 것인가요?
애플의 개발자 등록이나 앱스토어 등의 약관을 정확하게 읽어 보지는 않았습니다만
제가 알기론 애플약관에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는 인앱결제만 허용한다고 나온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근데 에픽이 이것을 무시하고 자체 결제 시스템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한 것 인데요
에픽이 잘못한 것을 가지고 소송을 건다고 하는데 그게 말이 되나요?
애플은 앱스토어라는 것을 구축하기 위해서 많은 투자를 해왔습니다.
물론 수익도 어마어마 하게 가져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만큼의 인프라나 플랫폼을 구축해서 만들어 놓았는데 거기에 에픽이라는 회사가 들어와서는 그런 노력은 다 무시하고 자기내 수익만을 우선시 하는 것같습니다.
이런회사는 반대로 소송이 걸려서 자체 결제로 벌어드린 수익의 대부분을 환수 해야하는것 아닌지 궁굼합니다.
부동산 가격에 대해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직장인 평균 연봉이 약 3600만원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수령이 한달에 300만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서울 기준으로 평균 아파트 거래 금액이 약 10억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월 300 ~ 600만원(맞벌이)을 수입으로 10억을 감당하는게 가능한가 합니다.
물론 상속을 받아서 여유자금은 더 많을 수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상속을 받는 것은 아닐 텐데요
이런것을 보면 버블인것 같기도 한데요
또 다른 측면을 보면 요즘은 자영업가 더 많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자영업은 직장인에 비해 소득을 숨기기 쉬우니 직장인보다 많은 소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격이 유지가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코로나 바이러스와 독감 바이러스 차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염성이 높은 것은 알것 같습니다.
하지만 치사율을 보면 5% 미만으로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요 (국내는 2% 수준으로 알고 있습니다.)
독감바이러스도 고령층에서는 치사율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염성이 높은 것을 빼고 나면 독감에 비해서 엄청나게 위험한 것인가요?
물론 사람이 안죽는 것이 중요하지만 너무 민감하게 사람들이 반응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독감 백신도 제가 알기로는 유행할것 같은 독감을 위주로 만들어진다고 들었습니다.
즉 완벽한 백신은 없다는것이죠 변이가 너무 빠르다보니
그렇다면 코로나 바이러스도 변의가 빠르게되면 결국은 어느 순간 독감의 한종류로 취급이 될것 같은데요.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것일까요?
아니면 제가 알고 있는 것 보다 치사율이 높은 것인지 후유증이 엄청난 것인지...
아이들 주식계좌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6살 4살 아이들이 있습니다.
어른들이 주시는 용돈을 통장에 넣어 주고 있는데요
이자도 거의 안나온 통장보다는 아이들 주식계좌를 만들어서 주식을 사주는게 수익이 더 좋을것 같아서 글을 올립니다.
우선 증권사를 어디를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지금 생각하고 있는 주식은 멕쿼리인프라와 삼성전자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장기투자로 눈여겨볼만한 주식이 있을까요?
6살 아이 분리 불안증인것 같습니다.
올해 초부터 아이가 어린이집을 가는 것을 싫어합니다.
아무래도 올해 부터 아이 엄마가 정규직으로 일하면서 퇴근시간이 조금 늦어졌습니다.
이유가 엄마의 직장 생활로 인한것으로 우선은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해도 어린이집에 딱히 싫은 아이는 없어 보입니다.
물론 담임 선생님과의 상담에서도 잘 지낸다고도 하였습니다. (담임선생님이 전부를 알수 없으니 딱히 신뢰가 가지는 않습니다. )
여러가지 상황을 보면 추측한것이 맞아보입니다.
아이엄마는 작년 7월부터 아르바이트로 일을 하였습니다. (10시 출근 6시퇴근, 정규직은 9시 출근 6시 퇴근)
약 한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좀더 떨어진것인데 아이가 느끼는 시간은 좀더 큰것같습니다.
분리 불안증을 좀더 빨리 극복하는 방법이 있을지요?
음성 채팅 서버는 어떤 방식으로 만드나요?
음성 채팅 서버를 만들려면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나요?
단순히 생각 했을때 음성을 스트림으로 보내면 될듯 하기는 한데요...
녹음을 하고나서 보내는건 쉬울듯한데 그럼 채팅이라고 말하기가 어려울것 같고요...
실시간으로 하려면 소켓통신을 해야하는것인가요?
소켓 통신을 할때 n명이 있는 채팅이라면 흠...
아니면 혹시 잘되어 있는 라이브러리가 있을까요?
DApp 개발시 어떤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시나요?
이더리움 기반으로 DApp을 개발을 해보았습니다.
하지만 전송속도, gas 비용 등을 생각한다면... 이더리움은 매력적이지는 않아보입니다.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아직 블록체인 기술이 초반이라고는 하지만 상용서비스에 사용하기에는 거부감이 먼저 오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른분들은 DApp개발시 어떤 블록체인을 사용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