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힘센사자51
힘센사자5123.02.13

고드름은 왜 거꾸로 만들어지는 건가요?

시골에 가면 추운겨울 시골 지붕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항상 고드름이 메달려있는 장면을 많이 봤는데 고드름은 어떤 원리로 거꾸로 생기는것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눈이녹아 지붕아래로 떨어지려다가 얼고 또 위에서 눈이 녹아 떨어지려다가 어는것을 반복해서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드름은 처마에서 흘러내리던 물이 얼면서 생겨납니다. 물이 찬 공기를 만나면 바로 어는 것이 아니고 얼기 전까지 물이 가지고 있던 열을 찬 공기나 닿아있는 차가운 물체에 빼앗기면서 어는 점까지 차가워지면서 얼게 됩니다. 처마에서 흘러내리던 물도 처마 아래 쪽으로 흐르는 동안 열을 빼앗기고, 얼음이 맺힙니다. 그 얼음을 타고 내려오던 물이 맺혀있던 얼음 끝지점과 가까워진 곳에서 어는 것이 반복되면서 고드름이 됩니다. 그렇게 생겨난 것이 보통 처마에 달려 있는 고드름의 형태입니다. 간혹 물방울이 처마에 맺히지 않고 땅에 떨어져서 어는 경우도 있는데 그럴 때는 여느 고드름과 반대로 위로 향한 역고드름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는 바닥에 떨어진 물이 얼고, 그 위에 떨어지는 물이 추가로 얼게 되는 것이 반복되어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드름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물방울이 얼면서 아래쪽이 더 가느다란 특유의 막대기 모양으로 생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아래로 떨어지는 물방울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며 고드름이 만들어 지는 것이죠.

    만약 위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이 아래에 층층히 쌓이며 얼어붙는다면 종유석처럼 위로 자라는 고드름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녹았다 얼었다를 반복하며 자라기 때문에 원뿔 모양을 갖습니다.

    추운지방에 고드름이 많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고 하네요. 고드름이 생기려면

    얼음이 녹고 얼 수 있도록 영상의 기온과 영하의 온도가 함께 있어야 하기 때문이죠.

    지붕에 쌓인 눈은 낮에 따뜻한 햇살에 녹아 처마 끝으로 흐릅니다.

    처마 끝에 맺힌 물은 밤이 되어 온도가 떨어지면 얼어붙기를 거듭해 고드름으로

    자라는데 지붕 위에서 흘러내린 이물질들이 조금씩 섞이기 때문에 고드름의 부러진

    단면을 관찰해 보면, 동그란 나이테를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며칠된 고드름인지

    추측할 수 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