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풍족한듀공209
풍족한듀공209

김구 선생을 살해한 안두희에 대해 궁금합니다.

6.25전쟁이 일어나기 정확히 1년전인 1949년 6월 26일, 서울의 경교장에서 백범 김구 선생께서 안두희라는 사람에 의해 피살 되었는데요 그 사건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안두희란 인물에 대해 알려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평북 용천에서 2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나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할머니 밑에서 자랐습니다 . 1934년 신의주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아버지 밑에서 일하다가 1939년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학과에 편입, 그 뒤 중국 등에서 상업활동을 하다가 1947년 월남하여 서북청년회 총무부장으로 활발한 우익활동을 했고 이때의 활동으로 당시 특무대장이던 김창룡과 교분을 갖게 되었으며 1948년 육사 특 8기로 입교해 포병사령부 연락장교가 되고 이듬해 한국독립당에 입당해 백범과 인연을 맺었습니다.

      1949년 6월 26일 낮 12경 전투에 나가면 생사를 기약할수 없으므로 마지막으로 선생을 뵈러 왔다며 경교장으로 백범을 찾아가 총탄 4발을 쏘았고 백범은 순국하고, 이 사건은 당시 정치 상황과 맞물려 많은 의혹을 낳았으나 그의 단독 범행으로 처리되었습니다.

      육군 포병 소위였던 그는 곧바로 특무대에 연행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지만 석달 후 15년으로 감형, 6.25전쟁이 일어나자 잔형 집행정지 처분을 받고 포병장교로 복귀했다가 1951년 잔형을 면제받고 대위로 전역했으며 1953년 2월 15일 완전 복권되었습니다.

      그 뒤 강원도 양구에서 군납 공장을 경영하다가 4.19혁명 이후 김구 선생 살해 진상 규명위원회가 발족되면서 신변의 위협을 느껴 잠적, 1961년 진상규명위원회 간사 김용희에게 붙잡혀 경찰에 넘겨졌으나 공소시효 소멸로 풀려났고 1965년 백범 독서회장 곽태영으로부터 칼로 목을 찔리기도했으나 극적으로 목숨을 건졌습니다.

      이후 약 10년동안 안영준이라는 가명으로 필사적인 은신 생활을 했으나 1987년 3월 민족 정기 구현회장 권중희에게 서울 마포구청 앞에서 발각되어 몽둥이를 맞으면서 다시 세인의 주목을 받게 됩니다.

      1991년과 1993년 권중희로부터 수차례에 걸친 응징을 당했는데 그 과정에서 암살 배후에 대한 자백을 하기도 하고 백범 묘소를 강제 참배하기도 했습니다. 1994년 국회 법사위 백범 김구 선생 암살 진상 조사 소위원회에서 증인으로 조사를 받았으나 끝내 배후를 밝히지 않았고 1996년 10월 23일 오전 11시 30분 인천시 중구 신흥동 자택에서 박기서에게 피살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