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레스폼
레스폼23.01.15

금리방향성에 대해 궁금합니다 의견 나눠봐요

주택담보대출후 금리가 너무많이 올라서 힘든데

언제쯤 인하를 할것인지에 대해 궁금하네요

이자내기도 버거워요.. 다들 괜찮으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릴게요

    저도 질문자님과 다르지 않게 대출을 사용하고 있다보니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해서 이자 부담비용이 2배나 증가한 상황입니다. 은행 직원이라고 해서 금리를 더 낮게 주는 것은 아니라서 저희 같은 경우는 재직중인 은행이 아니라 다른 은행에서 대출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CPI값이 예측보다는 빠르게 내려가고 있고 임금인상률의 기조도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서 미 연준의 긴축 의지가 조금 꺾이지 않을까 기대를 해보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CPI값이 6.5%로 높은 상황이다보니 미국의 경우는 올해에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이 지난 5년간 개인대출이 감소한 것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개인대출이 20%나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변동금리 비율이 80%를 차지하였던 만큼 미국에 비해서 빠르게 소비침체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로 인해서 내수시장이 크게 침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미국보다는 조금 빠르게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미국은 2024년 상반기 금리인하를 검토한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보다 조금 앞선 2023년 연말쯤 금리인하를 시작하지 않을까 예측하고 있습니다.

    물론 예상과 다르게 미국의 CPI값이 올 연말에 2%대에 진입한다면 조금 더 빠르게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겠으나 최근 달러가 약세로 접어들고 있어서 미국이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상승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라서 이러한 기대값은 조금 낮은 상황이라고 보여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화이팅 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특례보금자리론과 같은 경우 대환대출을

    알아보시길 바라며 올해 상반기까지는 금리가 인상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미래는 어떻게 전개될지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