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탐지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동전같은걸 찾을때 원리가 궁금합니다.
음 예전에 영상같은걸 보면 금속탐지기라고 모래속에서 동전같은걸 찾는 영상을 본거 같은데요.
이 금속탐지기가 어떻게 동전같은걸 찾는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탐지기는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지하에서 금속물질이 있는 경우에 그 금속물질에 대한 반응 신호를 측정하여 탐지합니다. 전자기파는 금속물질에 부딪혀 반사되거나 흡수됩니다. 금속탐지기는 발생한 전자기파의 반사파와 흡수파를 측정하여, 지하에서 금속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속 탐지기는 발생하는 전자기장과, 금속물체의 전자기적 특성에 기반하여 동작합니다. 금속 탐지기에서는 코일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 전자기장과 금속물체가 상호작용하면서 금속물체 주변에 전류가 발생합니다. 이때 전류를 측정하여, 금속 탐지기는 금속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습ㄴ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속 탐지기는 금속 물체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로, 다양한 분야에서 보물 찾기, 고고학적 발굴, 안전 검사, 금속 검출 등에 활용됩니다. 금속 탐지기의 동작 원리는 다양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원리는 "전자기장 인덕션" 혹은 "전자기장 변화" 원리입니다.
전자기장 인덕션 원리는 금속 물체가 인근에 생성된 전자기장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원리입니다. 금속 탐지기는 발생한 전자기장을 송수신 코일(컨덕터)을 통해 생성하고, 이를 탐지하는 수신 코일을 이용하여 금속 물체의 존재를 감지합니다. 송수신 코일에는 교류 전류가 흐르는데, 금속 물체가 근처에 위치하면 그에 따른 전기적 변화가 발생합니다. 이 변화를 수신 코일에서 감지하여 신호로 변환하여 탐지기가 그 신호를 인식하고, 경보를 울리거나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금속 물체의 존재를 알려줍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레이더와 같은 일종의 전자기파를 이용한 것입니다.
금속탐지기의 커다란 원판을 보셨을 것입니다. 그 원판에는 코일이 감겨져 있는데요,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려주면 코일에 주기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만일 코일 아래에 금속 물질이 있을 경우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와전류가 유도되고 유도된 와전류에 의해 금속 물질이 자기장을 발생시킵니다.
금속탐지기는 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금속 물질을 감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탐지기의 자기장이 변하게 됩니다. 물론 자기장이 변하지 않으면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금속물체가 탐지기를 통과하게 되면 코일에 자체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자기장이 변하게 됩니다. 이를 전자장치로 감지하여 경고음을 울립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회로를 관통하는 자기력선이 변화하면, 그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하려는 기전력이 생기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라 합니다. 유도 기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회로와 자석을 상대적으로 운동시키면 됩니다. 전류회로 그 자체의 전류가 변할 때에도 전류의 변화에 따라 그 회로 자체를 관통하는 자기력선 수가 변하므로 유도기전력이 나타납니다. 이와같은 회로 자체의 전류변화에 따르는 전자기 유도를 자체유도라 합니다.
공항에 설치된 금속 탐지기는 승객이 통과할 수 있는 커다란 네모꼴이며 네모 문 가장자리에 코일을 설치하여 닫힌 전기회로로 만든 장치입니다. 이들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탐지기의 자기장이 변하게 됩니다. 물론 자기장이 변하지 않으면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금속물체가 탐지기를 통과하게 되면 코일에 자체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자기장이 변하게 됩니다. 이를 전자장치로 감지하여 경고음을 울립니다.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이 있을 때 금속이 지나가면
자기장지역을 지나가는 금속의 면적이 변하기 때문에 금속에는 패러데이 법칙으로 인해 유도기전력이 생기고 이로인해 유도 전류가 생깁니다. 기전력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시면 유도전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유도전류가 다시 자기장을 만들게 되는데 탐지기는 이 유도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감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속탐지기는 한 쌍의 탐지 코일과 제어를 위한 전자회로로 구성되고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코일에 주기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코일 아래에 금속 물질이 있을 경우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와전류가 유도됩니다. 이렇게 금속탐지기는 보이지 않는 금속 물질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속탐지기의 작동원리는 우리눈으로 식별불가능한 내부에 금속을 탐지하여 부저를 울려주는 것인데요.
전자기유도를 이용하여 상호유도현상을 일으키는 원리입니다.
- 1차 코일에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여 코일주변에 주기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을 형성 주변에 금속이 있다면 금속에 전류가 맴돌게 됩니다. → 이 맴도는 전류는 다시 연속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을 만들어내고 2차코일에 검출이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