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먹깨비
먹깨비23.02.20

지구가 가지고 있는 물(바다 포함)이 점점 고갈되나요?

지구가 가지고 있는 물의 총량은 고정량일테고. 태양에 의해 계속적으로 열을 받다보니, 언제가는 점점 물의 양이 줄어들어 결국에는 소멸이 될 거 같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는데요. 이러한 생각이 맞는 건지 궁긍합니다.

뭐 물론 수증기가 대기 중에 다시 비가되어 내려서 다시 물의 양이 어느정도는 다시 지구로 환원이 될 거 같은데, 일부는 분명 태양열에 의해 소실이 될 거 같거든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0

    지구의 물은 원래는 어느 정도의 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기후 변화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따라 수위가 변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지구의 물은 지구 내부에 숨겨진 양수와 함께 전체 양이 일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태양에 의한 열로 인한 수증기의 소실로 인해 지구의 물이 소멸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지구의 물 중 일부는 증발과 수증기 형태로 대기 중에 존재하다가 다시 비 형태로 지구에 내려가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를 물의 순환이라고 하며, 이 과정에서 지구의 물 중 일부는 다시 지구 내부에 재순환됩니다.

    하지만 지구의 물이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이 깨질 경우에는 물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의 물을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순환이 됩니다. 바다에서 수증기가 되서 올라가서 대기권에서 다시 비나 눈으로 변해서 내리게 되고 이는 다시 바다나 강가로 흘러들어가게 됩니다. 이렇듯 지구의 자연환경은 자연스럽게 순환되는 구조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가 있는 한 물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유지합니다.

    물 자체가 지구상을 돌고 또 돌아가는 순환 운동입니다.

    즉, 바닷물이 증발하면 구름이 되고 그 구름은 비가 되어서 육지와 산을 적시고 그래서

    비가오면 계곡으로 흘러가고 또는 땅속으로 스며들며 궁극에는 다시 강을 따라서 바다로 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물의 양은 동일 합니다

    태양에의해 증발이 되더라도

    구름에서 수증기로 맺혀 비로 다시 내려 순환 하게 됩니다

    그래서 총 량은 일정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총량은 동일 합니다. 그런데 물부족이라는 것은 인간이 마실 수 있는 물이 환경오염으로 인해 줄어든다는 겁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