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샘추위는 우리나라에만 나타나는 기상현상이라는데 맞나요?
말그대로 이른봄 2월말부터 꽃이 피는 계절에 나타는것을 우리들은 꿏샘추위라고 합니다 그런데 꽃샘추위라는 것이 우리나라에만 나타나는 기상현상이라는데 맞나요?
![답변의 개수](/questions/_next/image?url=https%3A%2F%2Fmedia.a-ha.io%2Faha-qna%2Fimages%2Fcommon%2F3D%2Fanswer.png&w=64&q=75)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겨울이 추운 이유는 북쪽 시베리아에서 형성된 차가운 기단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요, 이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이 점점 줄어들게 되면 봄이 찾아 옵니다. 점점 줄어드는 시베리아 기단이 계속 약해 지면 되는데 일시적으로 강해지는 특이 현상이 오는데 이때에 갑자기 추워지며 이게 바로 ‘꽃샘추위’입니다. 꽃이 피는 걸 시샘하는 추위하고 해서 ‘꽃샘추위’라 합니다.
우리나라 봄 즈음에만 볼수 있는 특이 현상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봄이 되면 겨울철 내내 우리나라를
지배하던 시베리아 기단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기온이 상승하다가, 갑자기 이 기단이 일시적으로 강화되면서
발생하는 이상 저온현상이다.
특이일(特異日)주1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의 봄철에만 나타난다. 일상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꽃샘추위는 2월 말부터 4월 중인데 반해, 이 추위의
발생 기간은 3월부터 5월까지로
분석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겨울이 추운 이유는 북쪽 시베리아에서 형성된 차가운 시베리아 기단이 한반도에 강력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인데, 봄이 온다는 것은 이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력이 약해진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 조금씩 약해지던 시베리아 기단이 일시적으로 강해지는 현상이 오는데 이것이 꽃샘추위입니다.
우리나라 봄쯤에만 볼수 있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봄이 되면 겨울철 내내 우리나라를 지배하던 시베리아기단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기온이 상승하다가, 갑자기 이 기단이 일시적으로 강화되면서 발생하는 이상 저온현상입니다 .특이일 주1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의 봄철에만 나타난다고 합니다. 일상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꽃샘추위는 2월 말부터 4월 중인데 반해, 이 추위의 발생 기간은 3월부터 5월까지로 분석된다고 하지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꽃샘추위'라는 용어는 한국에서 생겨난 것이지만, 이 기상현상은 한국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봄철에 따뜻한 기류가 유입되어 기온이 높아지면서 꽃이 피어나는데, 이 때 갑자기 찾아오는 추위 현상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기상현상은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대만 등의 지역에서도 관측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삼寒四温(사한사온)"이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춘한(春寒)"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모두 봄철의 갑작스런 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적으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있지만, 기상현상 자체는 서로 비슷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꽃샘추위는 한반도의 봄철 특유의 기상현상 중 하나입니다. 일본에서는 "우나기"라는 비슷한 기상 현상이 있으며, 중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기상 현상이 있지만 지역마다 명칭과 발생 시기가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는 "한가위한숨"이나 "대서온한"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결국, 봄철에 갑자기 추워지는 기상 현상은 한반도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도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