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이 특정한 색깔을 인식할 수 있는 지 알고 싶습니다.
야외에 장시간 차량을 주차해 놓고 있다보면, 특정차량에 새들의 배설물들이 더 많은 경우가 있는 데 새들도 특정한 색깔을 인식할 수 있는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사람은 빨강 녹색 파랑의 3색각을 구분할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 조류, 새들의 시각은 자외선까지 감지할 수 있어서 4색각을 가지고 있어서 광범위한 색상을 인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조류의 이러한 뛰어난 색각은, 번식, 의사소통, 먹이찾기, 천적피해 최소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뛰어난 시력과 색각은 하늘을 날면서도 이러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진화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새들은 사람보다 더 넓은범위의 색 인식능력을 가진 4색형시각체계를 가지고있습니다.
그래서 차량의 색상이나 광택, 반사율차이에따라서 시각적으로 더 눈에띄는색을 인식하고 접근할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네, 새들은 특정한 색깔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보다 훨씬 뛰어난 색 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새는 사람이 가진 세 가지 원추세포 외에도 자외선(UV)을 감지하는 네 번째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는데, 이 네 가지 추체 덕분에 새들은 자외선을 포함한 훨씬 광범위하고 다양한 색상을 구별할 수 있으며, 사람이 볼 수 없는 자외선 색깔까지 인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차량에 새 배설물이 더 많은 현상에 대해 차량의 색깔과 새의 색 인식 능력이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나 가설들이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갈색이나 빨강, 검정과 같은 어두운 계열의 차량이 새 배설물이 더 많은 경향이 있다는데, 이는 새가 자외선을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특정 색조가 새들의 시야에서 더 두드러지게 보여 어두운색 차량이 표적이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새들은 사람보다 넓은 자외선 영역까지 인식가능한 4색시각을 지니고있기때문에 색 구분능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다만 차량색깔자체보다는 빛 반사율이나 표면온도, 주변대비가 배설위치선택에 더 큰영향을 주게됩니다.
즉 ,새들은 색을 인식하기는하지만 특정색을 표적으로 배설한다는것은 과학적근거가 모자랍니다.
감사합니다.
네, 새들은 특정한 색깔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사람보다 더 넓은 범위의 색을 구별합니다. 인간은 삼색시(적록청)인 반면, 대부분의 새는 사색시(적록청자외선)이므로 자외선까지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차량에 새들의 배설물이 많은 것은 새들이 차량의 특정 색깔이나 코팅에 반응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