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4.02.15

현미경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현미경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물질을 확대해서 보잖아요?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스마트폰에 장착된 100배 망원줌과 원리가 다를까요?

안 보이는걸 눈에 보이게 해주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의 기본원리를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물체를 확대하여 보는 것 입니다. 스마트폰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 역시도 이러한 볼록렌즈가 들어가 있습니다. 여기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볼록렌즈를 활용한 물리적 확대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확대기술을 사용하여 백배줌 사용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그래서 원리는 일부는 같지만 스마트폰의 경우 더 발달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현미경도 전자현미경은 핸드폰의 확대배율보다 더 높게 물체를 관찰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작은 물체나 세포 등을 확대해서 관찰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현미경의 작동 원리는 광학 원리와 빛의 굴절 현상에 기반합니다.

    현미경은 두 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렌즈인 오브젝티브 렌즈는 물체에 가까이 위치하며 작은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이 작은 이미지는 두 번째 렌즈인 아이피스 렌즈로 전달됩니다. 아이피스 렌즈는 오브젝티브 렌즈에서 형성된 작은 이미지를 더욱 확대하여 우리 눈에 보이게 합니다.

    빛은 오브젝티브 렌즈를 통과할 때 물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작은 이미지를 수직으로 확대합니다. 이후 아이피스 렌즈를 통과하면 빛은 다시 굴절되어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 굴절된 빛은 물체의 확대된 이미지로 인식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볼록렌즈를 통해 물체를 확대한 상으로 관측할 수 있게한 도구입니다. 또한 굴절된 빛을 다시 평행하게 바꾸어주어 우리눈에 작은 물체가 가까이 크게 보이도록 만들어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렌즈의 굴절력을 이용하여 미세한 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하는 도구입니다. 스마트폰의 망원 줌 기능 역시 렌즈의 굴절력을 이용하지만, 현미경은 훨씬 높은 배율과 선명도를 제공하며 투명한 물체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물체도 관찰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물질을 확대해서 보는 기기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는 광학 원리와 렌즈의 조합입니다. 현미경에는 렌즈가 여러 개 있어서 물체를 여러 번 확대시키는데 이를 통해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물질도 확대해서 볼 수 있게 됩니다.

    스마트폰에 장착된 100배 망원줌과 현미경의 원리는 다릅니다. 스마트폰의 망원줌은 렌즈를 이용해서 물체를 확대하는 것이지만 현미경은 광학 원리와 렌즈의 조합을 통해 물체를 여러 번 확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현미경은 스마트폰의 망원줌보다 더 높은 확대율을 가지고 있어서 더 작은 물체도 더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현미경은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물질을 눈에 보이게 해주는 기기이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볼록렌즈를 통해 넓은 범위의 빛을 한초점으로 모아주면서 상을 확대하고, 이 확대된 상을 다시 평행하게 펴주면서 우리눈에 볼록한 형상 없이 평평한 이미지를 확대해서 제공해줍니다.

    즉, 2개의 렌즈를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빛을 통과시켜 물체의 작은 세포, 섬유, 세균 등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습니다. 현미경은 빛의 굴절, 산란, 반사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빛의 굴절 현상을 이용하게 됩니다. 빛의 굴절을 통해서 볼록 렌즈가 물체를 확대하여 작은 물건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렌즈를 사용하여 미세한 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렌즈는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물체의

    이미지를 망막에 투사하여 우리 눈으로는

    볼 수 없는 미세한 물질을 볼 수 있게 합니다.

    현미경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마다 작동 원리가 조금씩 다릅니다.

    광학 현미경은 가장 일반적인

    현미경으로 가시광선을 사용하여 물체를 관찰합니다.

    전자 현미경은 전자빔을 사용하여 물체를 관찰합니다.

    광학 현미경보다 훨씬 더 높은 배율을 제공합니다.

    주사 터널링 현미경은 전자의 양자 터널링

    효과를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합니다.

    원자 수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현미경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세한 물체를 확대합니다.

    물체에서 나오는 빛은 현미경의 대물렌즈를 통과합니다.

    대물렌즈는 빛을 굴절하여 상을 형성합니다.

    이 상은 접안렌즈에 의해 더욱 확대됩니다.

    확대된 상은 망막에 투사되어 관찰자는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망원 줌도 렌즈를 사용하여

    물체를 확대하지만 현미경과는 작동 원리가 다릅니다.

    스마트폰 망원 줌은 렌즈를 사용하여

    물체를 더 가까이에 가져오는 것과 같습니다.

    현미경은 렌즈를 사용하여

    물체의 이미지를 확대합니다.

    따라서 스마트폰 망원 줌은 현미경보다

    훨씬 낮은 배율을 제공하며 미세한 물질을

    관찰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현미경은 렌즈를 사용하여 미세한 물체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스마트폰 망원 줌은 물체를 더 가까이에 가져와서

    관찰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현미경과는

    작동 원리와 배율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과 망원경의 가장 큰 차이점은 관찰대상과의 거리입니다. 즉 관찰대상을 처음으로 받아들이는 대물렌즈의 촛점거리가 대상과의 거리가 아주 가까운 현미경은 짧고, 거리가 멀리 떨어진 망원경은 깁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미경은 미세한 물체를 눈에 보이도록 확대하는 광학 기기입니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빛을 사용하여 작은 물체를 확대하는 데에 쓰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현미경 종류 중 하나인 광학 현미경은 빛을 통과시켜 작은 물체의 세부 사항을 확대하여 눈에 보이도록 하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현미경은 시료 위에서 빛을 집중하고 그림자를 만들어 컬러 및 형태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한 구조물이나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장착된 망원줌은 전자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확대하는 것으로, 광학 현미경과 원리가 다릅니다. 스마트폰에서 망원 줌을 사용하면 이미지를 디지털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줍니다. 이것은 사진을 늘리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지만, 실제로는 미리 찍은 이미지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광학 현미경보다는 세부 사항 및 해상도에서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