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블랙홀을 찍은 사진을 보면 그 주변의 빛이 타원처럼 보이는건 이유가 무엇인가요?

지금 블랙홀을 찍은 사진을 보면 블랙홀 자체가 아니라 그림자나 그 주변의 빛을 본다고 들었던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그 주변의 빛이 타원형태 띠를 그린것처럼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을 찍은 사진을 보면 블랙홀 자체는 보이지 않고, 그 주변의 빛이 타원형태 띠를 그린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빛이 휘어지는 현상 때문입니다. 블랙홀은 질량이 매우 큰 천체이기 때문에, 그 주변의 공간을 휘게 만듭니다. 빛은 휘어진 공간을 통과할 때 휘어지게 되는데, 블랙홀의 중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빛이 매우 많이 휘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 주변의 빛이 타원처럼 보이는 이유는 블랙홀의 강력한 중력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근처의 물질은 물론 빛까지도 빠져나갈 수 없는 지점이 만들어집니다. 이로 인해 블랙홀 주변의 빛은 중력에 의해 왜곡되고, 이 왜곡된 빛이 우리 눈에는 타원처럼 보이게 됩니다.

    또한, 블랙홀의 강력한 중력은 블랙홀 뒤에서 발생된 빛마저도 왜곡시켜 앞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 때문에 블랙홀 주변의 빛은 타원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빛마저 흡수하기 때문에 당연히 빛이 탈출할 수 없어서 어두운 형태로 보입니다. 주변의 밝은 빛은 거대한 중력으로 인해 초고온 상태가 된 가스가 방출하는 빛입니다. 빛이 빠져나올 수 있는 거리안쪽은 까맣게 보이고 (사건의 지평선) , 그 범위를 넘어서는 부분이 관측 가능하다고 생각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