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생활에 쓰이는 불교용어인 찰나와 억겁은 어떻게 탄생한용어이고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실생활에 간혹 많이 쓰이는 불교용어가 찰나와 억겁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찰나와 억겁은 어떻게 탄생한 용어이며 정확히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찰나는 아주 짧고 빠른 시간을 비유할때 쓰이는 말입니다.
이 말은 산스크리트 어의 크샤나를 음역한 아주 짧은 시간이란 뜻에서 나온 말로, 찰나같은 인생을 영원한 인생으로 바꾸는 것이 불교 철학입니다.
억겁은 무한히 긴 시간을 나타내는 말 입니다.
본래 영겁이라 하며 이는 산스리트어인 칼파를 음차한 표현입니다.
불교에서는 전생에 쌓은 500겁의 인연으로 옷깃을 스칠수 있으며 1000겁의 인연이 쌓이면 한 나라에 태어나고 2000겁의 인연은 하루동안 길을 동행하게 되며, 3000겁의 인연으로 하룻밤을 한 집에서 자게 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찰나(刹那)는 불교에서 극히 짧은 시간을 가리키는 용어로 산스크리트어에서 "순간"이라는 뜻을 가진 크샤나(산스크리트어: क्षण, kṣaṇa)를 음역한 용어입니다. 억겁(億劫)은 매우 길고 오랜 시간을 나타내는 불교용어로, '영원'과 구분됩니다. 1겁은 사방 10리의 돌산이 백 년마다 한 번씩 내려오는 선녀의 옷깃에 스쳐서 다 마모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찰나와 억겁은 불교 용어로, 시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찰나'는 아주 짧은 순간을 의미하며, '억겁'은 매우 긴 시간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찰나는 산스크리트어의 크샤나(Ksana)를 음역한 말입니다. 대비바사론에 따르면 찰나는 2명의 성인 남자가 카시국에서 생산된 여러 가닥의 명주실을 붙잡고 잡아당기는데 또 한 사람의 성인 남자가 중국에서 생산된 강도로 단숨에 그것을 절단할 때 1가닥 절단할 때 64찰나가 경과한다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결론은 1찰나는 1/75초라는 짧은 시간이라는 것입니다. 찰나는 불교용어로 순간을 의미하며 손가락을 한번 튕기는 시간을 뜻합니다.반면에 겁은 불교용어로 천지가 한 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세월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겁의 세월도 무궁무진한데 억겁은 우주의 빅뱅 순간부터 우주가 완전히 소멸하는 순간보다도 훨씬 긴 세월을 의미합니다. 겁은 수조년으로 경년 수해년으로 거대한 바위가 옷깃을 스쳐서 다 닳아질 때까지의 시간으로 인간의 시간으로는 기늠할 수 없는 긴 시간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