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마다 꽃말이 있는데, 그 꽃말은 누가 정한것인가요?
꽃마다 각각의 꽃말이라는게 있잖아요, 근데 그 꽃말은 누가 정한것인가요? 꽃말도 공식적인 국제기구가 정하고 배포한것인가요? 아니면 공식적인건 아니고, 구전으로 그렇게 전해진것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예로부터 꽃은 각 민족·종교·민속 등에서 여러 가지 상징·표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꽃은 장소·시기, 보는 이의 심정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지므로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은 꽃말을 만들어 서로의 기분을 전달하지요. - 프랑스에서는 '꽃말'이라는 표현 이외에 '우의의 꽃다발', '무언의 말'이라고도 한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수종의 꽃을 섞어서 꽃말 문장을 만들고 그것에 리본을 맨 보릿짚이나 버들가지를 곁들여 그 리본의 빛깔과 매듭으로 보내는 이의 이름을 나타낸 시대가 있었다고 합니다. - 풍습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페르시아·아라비아 등의 풍습을 받아들였다는 설, 이것을 몬터규 부인이 영국에 전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유행된 것은 19세기 후반의 일이라네요. 장미는 '사랑' '아름다움', 백합은 '순결', 제비꽃은 '겸손', 월계수는 '영광', 올리브는 '평화' 등의 꽃말은 꽃의 특질에 따라 상징적인 의미로 붙인 말이라고 합니다. - 그래서 특별히 정한 사람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한국화훼협회에 따르면, 꽃말은 꽃에 대한 꽃말이 생긴 유래의 출처가 불분명하므로 정확한 답은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꽃말은 주로 알려진 꽃말의 과거의 사용 예로는, 서양의 중세 시대 때 기사가 여인에게 꽃을 보내 숨겨진 뜻이나 감정을 전달하던 풍습 또는 그리스도교, 로마신화 등에서의 종교적 신화적 상징으로의 사용되어져 온 것이 전해 져 내려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제기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