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음유시인은 실제로 존재하던 사람들인가요

가끔 책을 읽거나 게임을 하다보면 음유시인을 접하게 됩니다. 그냥 세상을 돌아다니면서 여러 이야기를 전하고 다니던 음유시인은 실제로 존재하던 사람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삿갓이 대표적입니다.

    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에도 있었습니다.

    현제에도 있겠지요,

    그러나 경제적 능력이 뒤따라야 하겠기에 쉬운 일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음류시인은 고대 혹은

    중세유럽의 기사계급에 속하는

    경우가 많으나 후에는 다양한

    신분에서 나타났습니다.

    대표적 인물로 독일 최고의

    문호로 불리는 '발터 폴 데어

    포걸바이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유시인은 고대 혹은 중세 유럽에서 떠돌아다니며 시와 노래를 짓는 이들을 말합니다.

    최초의 음유시인이라는 아키텐의 기욤 9세(Guillaume d'Aquitaine, 1071~1127)가 있다고 하며, 실제로 존재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2세기 초엽부터 남프랑스에서는 봉건 대제후(大諸侯)들 사이에서 궁정의 귀녀(貴女)를 중심으로 하는 좁지만 화려한 사회가 이루어져, 귀녀숭배와 궁정풍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연애의 이념이 생겨났다. 기사(騎士)인 시인은 그러한 환경과 이념 속에서 사랑하는 마음속의 귀녀에게 영원한 사모를 바쳐 그것을 때로는 난삽할 만큼 정교한 시형으로 다듬어 작곡하여 그것을 성(城)에서 성으로, 궁정·귀녀를 찾아다니면서 노래불렀다. 이러한 시인·기사가 트루바두르, 즉 음유시인이다. 400여 명의 이름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만 봐도 그 수가 얼마나 많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단 그 내용은 일정하며, 결코 보답을 받을 수 없는 귀녀에의 사랑의 탄원과 봉사의 맹세이다. 또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 해도, 이마에 키스를 받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그러나 시인은 그 '콩솔라멘테'라는 키스의 영예를 간직하기 위해 더한층 정성을 바친다. 그리스도교의 마리아 숭배를 세속적인 사랑에 대체한 것이며, 또한 봉건제의 주종(主從) 관계를 연애 관계로 꾸며낸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또 보는 견지에 따라서는 여성 이외의 전쟁과 종교가 그들의 영감의 원천이기도 했다. 어쨌거나 남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의 음유시인들의 이 서정시야말로 근세 유럽의 시의 원조가 되었다.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가 그 원조이지만, 브라유의 성주(城主) 조프레 뤼델, 베르나르 드 방타두르 등이 잘 알려진 음유시인이다.

    이 새로운 시의 경향은 북으로 옮아가서 북프랑스에도 퍼지게 되어, 이른바 '트루베르(trouvère)'라고 일컬어지며 음유시인들을 낳게 했으며, 그것들은 더욱 북으로 퍼져, 독일에도 파급되어 많은 미네(Minne:사랑)의 시인을 배출하는 기연(機緣)이 되었다. 독일의 음유시인은 미네젱거(Minnesänger)라고 했다. 또한 남방의 이탈리아에서는 '트로바토레(trovatore)'의 활약이 매우 컸으며, 기타 영국·에스파냐 등의 근대 서정시의 발생에 끼친 영향도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