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10.15

항성이 빛을 내는 건 핵융합밖에 없나요?

태양같은 항성은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얻어서 빛을 내잖아요.

우주에 다른 항성들도 모두 핵융합만으로 빛을 내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빛을 내는 항성도 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직 밝혀진 자체 발광이 가능한 항성들의 에너지근원은 핵융합으로만 밝혀진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우주는 넓으니 다른것도 미래에는 밝혀지겠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대부분의 항성은 핵융합으로 빛을 냅니다. 태양은 수소가 헬륨으로 핵융합되는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 반응은 매우 강력하여 태양의 표면 온도를 약 5,500℃로 유지시켜줍니다. 그러나 우주에는 핵융합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빛을 내는 항성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백색 왜성과 중성자별이 있습니다. 백색 왜성은 별의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형성되는 별입니다. 백색 왜성은 핵융합이 끝났기 때문에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합니다. 그러나 백색 왜성의 표면 온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우주 공간에서 빛을 방출합니다. 중성자별은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후 남은 별입니다. 중성자별은 핵융합이 끝났기 때문에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합니다. 그러나 중성자별의 표면 온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우주 공간에서 빛을 방출합니다. 이외에도 초신성은 핵융합을 통해 빛을 내는 항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신성은 별이 생애의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하는 현상입니다. 초신성의 폭발로 인해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 에너지는 빛의 형태로 우주 공간에 퍼져나갑니다. 따라서, 우주에 존재하는 항성 중 대부분은 핵융합으로 빛을 내지만, 핵융합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빛을 내는 항성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항성은 내부에서 수소 핵융합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를 빛으로 방출합니다. 수소 원자핵이 핵융합되어 헬륨 원자핵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일부 나이가 많은 항성은 수소 연료를 모두 소진하여 핵융합 반응이 불가능해졌지만, 더 무거운 원소들 간의 핵융합이 가능한 영역에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핵융합 과정은 핵심 영역에서 일어나며, 핵심 영역 주위의 외부 대기에서 에너지가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을 반사해서 빛을 내는 것 처럼 보이는 항성도 있을 것입니다.

    예로 달의 경우 스스로 빛을 내는것이 아닌 태양의 빛을 반사하여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