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고운고래
고운고래

성병 질문있어요(바이러스 검출 혹은 생존 기간)

성별
남성
나이대
26

std 12종 중에 일부는 한번 걸리면 평생 바이러스라고 불리고 일부는 치료 후 박멸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떤 성병이 치료후에 박멸되고 어떤 성병이 치료 후에도 일부 바이러스가 계속 숨어있었어서 나중에 면역력이 약해지면 재발할수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성병(STDs)은 그 원인과 치료 가능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일부는 완전히 치료가 가능한 반면 다른 일부는 치료 후에도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어 재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아, 기생충,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은 적절한 항생제나 약물 치료를 통해 완치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임질, 클라미디아, 매독, 트리코모나스증은 모두 적절한 치료를 통해 박멸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병은 치료 후 바이러스나 세균이 체내에서 완전히 제거되며, 적절한 예방 조치를 통해 재감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바이러스성 성병의 경우 치료가 더 복잡할 수 있으며, 일부는 치료 후에도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인유두종바이러스(HPV), 헤르페스(단순포진 바이러스), 는 치료를 통해 증상을 관리하고 바이러스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으나, 완전히 체내에서 제거되지는 않습니다. 특히, HPV와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체내에 잠복해 있을 수 있으며, 면역 체계가 약해지는 상황에서 재발할 수 있습니다. HIV는 항바이러스 치료를 통해 바이러스의 양을 관리할 수 있지만, 현재 완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바이러스성 STD 중 HSV(헤르페스), HPV(인유두종 바이러스), HIV 등은 완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로 증상을 조절하고 전파 위험을 낮출 순 있지만,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완전히 제거되진 않아 재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세균성 STD인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등은 적절한 항생제 치료로 대부분 완치 가능합니다. 단, 내성균 감염이나 재감염 시에는 치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트리코모나스, 곰팡이 등 원충이나 진균 감염도 대개 약물로 치료 가능하지만, 재발이 잦은 편입니다.

      STD 종류별 특성이 다양하므로 정확한 진단과 전문의의 처방에 따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파트너와 함께 검사 및 치료를 받고, 안전한 성생활을 실천하여 감염과 전파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