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23.09.09

조선에서 여성의 지위가 낮아지는 시점은 언제인가요?

조선초기에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그리 낮지않았고 임진왜란 전만해도 데릴사위제도도 흔히 보이는데 조선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언제부터 낮아지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9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초기만 해도 여성도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받았다고 합니다. 신사임당의 예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17세기 이후 유교적 사회 윤리를 더욱 강조하게 되면서 여성의 지위도 크게 달라졌다고 합니다. 이제 여성은 바깥에 나가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도 없었고, 지식 습득에도 제한이 있었지요. 결혼한 후에는 시댁에 들어가서 시부모를 모시고 살아야 했습니다. 남편이 죽으면 3년 동안 재혼이 금지되었고, 재혼한 여성의 아들은 벼슬길에 오르지 못하게 함으로써 여성에게 정절을 강요했어요. 족보도 조선 초기까지 출생순으로 기록되던 것이 후기로 갈수록 선남후녀(남자가 먼저이고 그 후에 여자가 옴.)의 방식으로 바뀌었어요. 여성은 제사에 참석할 수 없었고, 재산 상속에서 제외되어 갔습니다. 또한 신분을 엄격하게 구분하였기 때문에 양반 여성과 상민 여성의 삶도 매우 달랐습니다.

    상황이 이러하니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여성은 더욱 남편에게 기대어 생활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나온 말이 ‘삼종지도’입니다. 여성은 시집가기 전에는 아버지를 따르고, 시집가서는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은 뒤에는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면에서 여성의 지위가 남성보다 낮기만 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가정 안에서만큼은 여성도 큰소리를 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가정을 지키고, 자녀를 가르치는 일 그리고 제사를 준비하는 모든 일들은 여성의 몫이었으며

    남편은 집안일에 간섭을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후기부터 성리학 이념에 철저한 사회로 도덕적 윤리적인 성격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남녀관계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여 여성들의 사회활동을 규제하고 정절 의식을 강조하였으며, 부계의식이 강한 종법질서의 확립으로 여성들은 제사, 재산 상속 등 가정 내에서의 권리와 의무가 상당부분 축소되었기 때문에 조선후기때부터 여성들은 그 이전 시기와 비교되어 사회적 지위가 상당히 약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래 고려와 조선 초기만 해도 여성의 지위는 그렇게 낮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조선 중기와 후기에 들어 오면서 공자와 맹자의 유교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여성의 인권이 크게 낮아 집니다. 그러면서 데딜 사위제가 아닌 여성이 결혼을 하면 보통 출가를 해서 시집살이를 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여성들은 시어머니 눈치를 보며 생활을 했고 그것이 계속 해서 마치 전통 처럼 내려온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