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산도(총산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적정산도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데 측정 결과 값이 mL와 %로 나오는데 각각 무엇을 의미하고 이에 대한 공식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정산도(총산도)는 우리가 먹는 음식이나 음료수에 들어있는 산성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측정 결과 값이 mL와 %로 나오는데 이는 각각 부피와 농도를 나타냅니다. 즉 mL은 우리가 측정한 용액의 부피를 의미하고 %는 그 용액 안에 들어있는 산성 물질의 농도를 나타냅니다.
적정산도를 측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적정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적정액이라는 용액이 필요합니다. 이 적정액은 산성 물질의 농도가 정확히 알려진 용액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측정한 용액과 적정액을 섞어서 산성 물질의 농도를 조절하고 그 농도가 일치할 때 적정산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적정산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는 적정액과 우리가 측정한 용액을 섞는 비율을 조절하면서 산성 물질의 농도를 조절합니다. 이 비율을 적정비라고 하는데 이 적정비는 적정액의 부피와 우리가 측정한 용액의 부피를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적정비가 1이면 적정액과 우리가 측정한 용액의 부피가 같다는 것을 의미하고 적정비가 2이면 적정액 1mL에 우리가 측정한 용액 2mL을 섞는 것을 의미합니다.
적정산도는 우리가 먹는 음식이나 음료수의 산성 물질 함량을 알아내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적정산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정산도는 대부분 mL과 %로 표시됩니다.
mL은 용액을 추가한 첨가제의 첨가 부피를 나타냅니다.
%는 적정산도 퍼센트를 나타냅니다.
공식은 C1V1=C2V2 이고
C1은 시료의 농도 (보통은 몰 농도),
V1은 시료의 첨가체에 의해 반응이 완료된 체적,
C2는 첨가체의 농도,
V2는 첨가체의 첨가 부피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