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소탈한잉어153
소탈한잉어15319.10.08

리플사가 2가지망으로 국제송금을 진행한다던데 어떤것들인가요?

리플사가 국제 송금을 하는 방안으로 하나는 리플의 네트워크망을 이용하는 방법과

또하나의 방법은 리플 자체를 이용하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각각의 용어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국제송금을 진행하는것인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리플넷이 제공하는 송금 솔루션에는 크게 xCurrent와 xRapid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리플사가 xCurrent와 xVia는 RippleNet이라는 이름으로 통합시키고, xRapid의 경우 ODL(On-demand Liquidity)이라는 이름으로 리브랜딩하여 서비스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선 RippleNet(구 xCurrent)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리플넷의 경우 기존 금융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플넷을 도입하려는 은행이나 금융 기관의 기존 원장에 연결하여 송금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으로 송신 은행이 송금 트랜젝션을 발생시키면 이것이 수신 은행에 도착하게 되고, 이 트렌젝션이 적합한지를 검증 한 후, 중간 은행에 보관된 '송신 은행 명의의 중간은행 계좌'에서 수신 은행으로 자금이 최종적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송금을 하게 됩니다.

    이때 각 은행의 원장과 RippleNet(구 xCurrent)의 원장(Ledger)이 ILP(Inter Ledger Protocol)를 통해 통신하며 리플넷 기반의 송금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RippleNet은 은행의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이 높고 다양한 화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반면, ODL(구 xRapid)은 리플 코인(XRP)만을 사용해서 송금하므로 송신자와 수신자 그리고 리플넷만 있으면 몇 초 안에 빠르게 전송이 가능합니다. 속도나 편리성, 안정성이 뛰어나고 금융 및 송금 거래에 최적화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ODL은 RippleNet 서비스와 달리 XRP(리플)코인만을 사용하여 송금해야 하며 기존의 해외 송금 시스템과 달리 중간 은행이나 노스트로 계좌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만큼 기존의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부족하여 해외 송금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들이 주로 ODL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어 지금까지는 그 사용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RippleNet은 기존의 송금 방식,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측면이 있고 반드시 리플 코인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파트너사들이 실제로 이용을 하고 있거나 테스트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ODL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송금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다소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