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한의학 이미지
한의학의료상담
한의학 이미지
한의학의료상담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9.02

한의원을 방문하면 뜸을 뜨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나이
43
성별
남성

한의원은 방문하게 되면 뜸을 뜨는 경우가 많잖아요.안 좋은 피를 뽑아낸다고 하던데, 드물 뜨는 원리는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묵 한의사입니다. 안 좋은 피를 뽑는 요법은 부항요법입니다. 뜸은 국소부위의 열자극으로 미세혈류를 순환시키고 온열작용을 하는 치료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민석 한의사입니다.

    우선 뜸을 뜨는 경우 피를 뽑지 않습니다. 사혈하는 경우는 습부항을 뜰 때 입니다. 부항은 사혈을 하는 건부항과 사혈을 하는 습부항이 있으며, 혈류순환촉진, 진통효과, 면역력 증가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뜸은 대개 몸이 차가운 경우에 사용하는 치료법입니다. 뜸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 효과는 ‘온열자극’이며, 체표에 부착해서 몸의 깊은 곳까지 열을 가합니다. 뜸을 뜨는 방법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크게 쑥 뜸을 직접 피부에 부착한 후 태우는 ‘직접구’, 생강‧소금‧부자 등 다른 재료를 피부에 올린 후 그 위에 뜸을 뜨는 ‘간접구’로 구분합니다. 직접구는 보다 강하게 온열 자극을 줄 수 있고, 쑥의 따뜻한 성질을 인체에 전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간접구는 민감한 피부에 과한 자극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생강‧소금 등의 매개 물질 효능까지 함께 활용하는 장점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뜸치료는 사혈을 하는 부항요법과는 다르며 피부 체표면에 뜸을 부착하여 국소부위에 온열자극을 가하는 한의 치료법입니다. 주로 한랭성 질환이나 만성 질환과 같은 허로성 질환에 적용되며 면역력 증진, 세포조직의 활성화, 혈액순환 개선, 지혈 작용, 진통 작용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