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 골수이형성증 진단을 받았는데 코로나 백신 2차 접종?
70세 골수이형성증 진단을 받았는데 코로나 백신 2차 접종(아스트라 제네카)를 맞아도 될지 궁금하고 걱정되네요.
담당의사는 맞아도 된다고 하는데 여러 의사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접종시 이점과 부작용여부를 주치의와의 상의하에 백신 접종여부를 결정하시어야합니다. 아나필락시스나 알러지가 있는 경우는 접종시 특히 주의를 요하기에 반드시 상의하에 접종여부를 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주치의의 판단하에 접종하시어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면억억제제나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고 있는 자가면역질환자 정도를 제외하고
기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는 기저질환이 없는 사람과 비슷한 면역 반응 및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본인의 판단이 가장 중요합니다. 결국 백신 접종 이후에 이상반응이나 후유증이 나타와도 이것이 백신으로 나타난 증상이라는 것을 증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재의 몸 컨디션과 상태를 잘 고려해보시고 신중히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질문자님께서는 골수이형성증을 진단 받으셨는데 백신 접종을 받아도 되는지 걱정이시군요.
해당 질병을 겪고 있는 환자들의 변혈 치료를 위해 시클로스포린이라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경우 항체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담당 의사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약 복용을 중단할지 결정해야합니다.
현재로서 질문자님이 정확히 어떤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며, 담당 의사선생님께서 백신 접종을 해도 된다고 하신 것으로 보아 면역억제제는 복용하고 있지 않고 다른 약물로 치료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담당 의사선생님의 의견을 따르는 것을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로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기저질환자들이 약을 복용하고 있더라도 큰 문제는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드시는 약 또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나 너무 걱정이 된다면 약을 처방해주신 주치의 선생님과 충분한 상담을 거친 이후에 백신 접종을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까지는 현증 코로나 감염, 임산부, 발열 외에는 특별한 금기 사항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만성 질환자들도 코로나 백신을 맞는 것으로 권고되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맞으셔도 됩니다. 골수이형성증도 마찬가지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 증상 예서는 백신접종이 금기는 아닙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접종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가장 정확한 것은 정기적으로 치료 받는 의사 선생님과 상의 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접종 가능합니다.
-골수이형성증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어도 백신 접종과는 크게 무관합니다. 담당의사가 접종가능하다고 했으면 접종가능합니다.(보통 기저질환 있는 경우 그렇게 확답하진 않습니다.) 다만 주의하여 접종하는 것은 필요합니다. 백신 접종 후 항상 몸상태를 살피고 호흡곤란/가슴통증/온몸에 두드러기 생기면 119 전화해서 응급실 가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