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든든한스컹크168
든든한스컹크16823.09.07

육식동물은 초식동물보다 필요성이 없나요?

제가 이런말을 들었는데 초식동물은 실제로 고기로도 매우 좋고

또 과거에는 소나 이런동물들이 농사일을 도와줬는데

실제로 호랑이나 늑대같은 육식동물은 거의 쓸모가 없다는데

실제로 그런가요? 초식동물은 식용으로도 좋은데

육식은 거의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착한의자위헬리콥터82입니다. 육식동물은 자연에서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유지시켜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현재 한국의 호랑이와표범이 사라지면서 멧돼지와 고라니의 개체수가 지나치게 늘어난것도 육식동물이 없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팔팔한파리매131입니다. 초식동물의 무리에 전염병이걸렸을 경우에 같이 군집생활을 하면 전체가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몸이 아픈 개체가 무리에서 떨어져 도움을 받지 못하고 육식동물의 먹이로 되면 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의 조화로움도 자연법칙의 일부라고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겸손한박각시62입니다.

    육식 동물 같은경우에는 육식을 많이 해서 다른동물의

    병원균 이나 기생충 감염이 흔합니다 그런 동물을

    식용하게 되면 사람에게도 악 영향을 끼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육식 동물 가축처럼 사료를 줄수가 없어 가성비면에서도

    불 적합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숭늉한사발입니다.

    오로지 인간의 관점에서만 보면 그런 소릴 할 수도 있겠군요.

    그러나 육식동물을 사람이 식용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그 이유만으로 존재자체의 필요성을 따질 수는 없죠.

    초식동물의 개체수 조절만으로도 생태계에 필요한 존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