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길쭉한날쥐200
길쭉한날쥐20022.02.04

우울증 진단을 내리는 기준에 대해 궁금합니다.

나이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우울증의 경우에도 혈액학적 혹은 기타 관측가능한 진단 지표가 있나요? 아니면 단순히 상담으로만 진단을 내리나요? 궁금합니다.

상담으로만 우울증 진단을 내리고 처방을 낸다면 의사 선생님을 속이고 향정신성의약품 같은 약들을 받는 사람들도 당연히 존재할 수 있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울증은 단순히 상담만으로 주치의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진단을 내리고 약물을 처방하고 그러지 않습니다. 우울증을 진단하기 위한 여러가지 진단 기준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DSM-V 진단 기준을 주로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울증의 진단 기준은 현재 DSM-V 라는 기준을 이용하고 있으며 아래의 진단 기준을 이용합니다.

    A. 우울증의 필수증상은 적어도 2주 동안 다음중 하나가 있어야 합니다.

    1) 거의 하루종일 우울하다.
    2) 거의 매일 모든 것 또는 거의 모든 것, 하루 대부분의 활동에서 흥미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다.
    (주관적이거나 타인에 의해 관찰됨.)

    B. 또한 다음 증상에서 4가지 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1) 체중감소나 증가, 식욕의 감퇴나 증가 (1개월 동안 체중이 5%이상 변화)
    2) 불면이나 과수면
    3) 정신운동성 초조나 지체 (좌불안석이나 처진 느낌)
    4)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에너지 상실
    5) 삶에 대한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6) 사고력, 기억력, 집중력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
    7)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 또는 자살사고나 자살기도 및 계획을 세움.

    이런 기준에 들어간다고 우울증 진단이 나오는 것은 아니며 정신과 의사와 수차례 면담을 통해

    최종 진단을 하게 되며 단순 우울성 기분 장애의 경우 역시 많은 상태이기 때문에 완전한 우울증

    진단에는 한 두 번의 면담이 아닌 상당한 기간 동안의 진료가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2.06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우울증은 혈액학적 지표로 진단하지는 않고 DSM이라고 하는 진단기준에 따라서 진단하게 됩니다. 다만 우울증에 사용되는 향정신성의약품은 일반적으로 남용하는 케타민류등의 약품과는 다르고 전문의선생님은 진단서 목적으로 오는 환자가 매우 많아 이를 효율적으로 잘 감별하십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우울증의 진단기준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주요 우울증 삽화의 진단기준(참고 : DSM-V 진단기준)

    • 체중감소나 증가, 식욕의 감퇴나 증가 (1개월 동안 체중이 5%이상 변화)

    • 불면이나 과수면

    • 정신운동성 초조나 지체 (좌불안석이나 처진 느낌)

    •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에너지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