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코드 블루같은 용어들은 또 무엇이 있나요?
의학 드라마 보다보면 코드 블루 코드 블루라고 방송나오면서 긴급상황으로 돌아가는걸 봤는데요.
코드 블루와 같은 용어 들은 또 무엇이 있나요?
코드 블루의 블루가 색깔을 말하는 것이라면 다른 색깔의 용어들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훈훈한두꺼비124입니다.
상황에 따라 코드 뒤에 언급된 색상 또는 다른 용어로 구분할 수 있고 15가지가 있습니다.
1. 코드 블루
심폐소생술(CPR)이 필요한 환자가 생길 경우. 대학병원급이면 거의 매일 나오는 방송으로, 코드 블루 발생 시 의사나 간호사들이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 달리는 소리가 멀리 울려퍼진다. 하지만 코드 블루가 해제될 때의 생존률은 30~40% 밖에 되지 않는다.
22. 코드 레드
화재가 일어난 경우. 가끔 재난 대비 훈련에서 훈련용으로 발령하는 경우가 있어서 외래 내원객들이 잠시 어리둥절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실제 코드 레드라면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직원들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하자.
참고로 서울 아산병원은 코드블루가 소아에게 발생하면 코드 레드를 쓴다. (같은 상황에서 서울 성모는 ‘소아 코드블루‘를 쓴다.)
3. 코드 오렌지
재난 또는 대량으로 사상자가 발생한 경우.
4. 코드 그린
긴급 대피 명령이 떨어지거나 메르스, 코로나19 등 법정 전염병 의심 환자가 병원에 오고 감염내과 같은 곳에서 법정 전염병 의심 환자라고 생각되면 대피 명령으로 코드그린이 나온다.
5. 코드 옐로우
환자가 누락되거나 유실된 경우.
6. 코드 앰버
유아가 납치된 경우. 앰버는 호박을 뜻하는 단어로, 미국의 아동 납치 경보이기도 하다.
7. 코드 블랙
폭탄 테러 위협을 받거나 환자가 밀집되어 의료진, 의료자원이 부족한 경우.
8. 코드 화이트
병원 서버가 오류를 일으키거나 마비된 경우.
9. 코드 그레이
지명수배범, 테러리스트 등 위험 인물이 출현한 경우.
10. 코드 핑크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에서 문제가 일어난 경우. 일부 병원은 코드 앰버와 코드 핑크를 합쳐놓기도 한다.
11. 코드 퍼플
환자나 방문자가 위협적인 행동을 한 경우.
12. 코드 실버
총격을 가하는 사람의 발생. 국내에서는 볼 일이 거의 없고 외국에서 사례가 있다.
13. 코드 아이스
병원 내 신설된 코드로 코로나19 등 전염병 의심 환자가 별도 격리 상태에서 이동 시 응급실 내 이동을 일정 시간 동안 제한하는 경우.
14. 코드 M
진상 환자가 난동을 부려 보안요원들의 진압이 필요한 경우.
15. 코드 클리어
코드 해제로, 위의 코드 상황들이 종료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