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

고리타분하다 라는 말의 어원은 어떻게 될까요?

고리타분하게 내가 왜 그런일을 해. 또는 저 사람은 대단히 고리타분한 사람이야 등으로 고리타분하다 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고리타분하다 라는 말의 어원은 어원은 어떻게 되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리타분의 고리는 르완다어 gorora의 과거형 goroye에서 유래한 것으로 평범하게 퍼진 지나간 시간을 의미합니다.

    타분은 르완다어 tabwa는 버려지다, 잃다의 뜻으로 na는 함께의 뜻을 가집니다.

    타분은 르완다어 tabwa+na 에서 유래한 것으로 함께 폐기된 것을 의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어 고리타분의 타분은 르완다어 tabwa (to be discarded) 에 na (with)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함께 폐기된 것을 의미한다고합니다. 결국 고리타분은 르완다어 goroye와 tabwa와 n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함께 폐기된 지나간 것, 즉 모두 잊혀진 옛날을 의미하는 것이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어 '고린(枯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고린은 '인색하고 옹졸하다'는 뜻으로, 여기서 '고리타분하다'는 뜻이 파생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리타분하다의 어원이 궁금하군요.

    <고리타분>은 르완다어 <goroye + tabwa + na>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함께 폐기된 지나간 것> 즉, <모두 잊혀진 옛날>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리타분하다는 말은 냄새가 역겹거나 공기가 신선하지 못하다는 말을 의미하며 고리다는 말은 썩은 풀이나 썩은 달걀에서 나는 고약한 냄새를 의미하지요. 또한 사람의 언행이나 행실이 옹졸하고 인색하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고리타분하다의 어원은 특별히 없는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리타분하다가 '고리타분'이라는 한자성어에 '하다'가 붙은 말처럼 보이지만, 이 말은 우리 고유어랍니다.

    '타분하다'는 말은 '입맛이 개운치 않다, 음식의 맛이나 냄새가 신선하지 못하다'는 의민데, 이것이 고미타분하다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원래의 의미는 음식의 맛이나 냄새와 관련된 말이었다가 이것이 확장되어 사고나 성격, 사람등에도 쓰이게 된것입니다.

    '고리'의 어원은 알수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냄새가 신선하지 못하고 역겁게 고리다거나 하는 짓이나 성미 분위기 따위가 새롭지 못하고 답답함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