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23.10.09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무지개 색깔이 계절이나 빛의 굴절에 따라 달라 보인적도 있나요?

무지개 색깔은 과거에는 오색무지개라고 표현했다고 하는데요.

현재는 7가지 색으로 대부분 표현을 하고 실제 뜨는것을 보면 7가지로 보인긴 합니다.

그러나 이 색깔은 빛의 굴절이나 습도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뜨는 무지개는 다른나라에서 처럼 5가지 색이나 2가지 색으로 뜬 무지개를 볼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10.09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무지개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의 7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빛의 굴절과 산란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입니다.햇빛이 강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계절이나 햇빛이 직각으로 떨어지는 조건에서 무지개를 관찰하면 색깔이 더욱 선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빨간색과 보라색이 더 강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햇빛이 무지개를 비추는 각도에 따라 무지개의 형태와 색깔이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출이나 일몰 시간에는 햇빛이 무지개를 비추는 각도가 낮아지므로 무지개가 더욱 폭이 넓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5가지 색이나 2가지 색으로 뜬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

    무지개의 색깔은 빛의 굴절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빛은 파장이 길수록 굴절률이 작습니다. 따라서, 태양빛이 대기 중의 수증기와 먼지 입자에 부딪혀 굴절되면서, 파장이 긴 빨간색부터 파장이 짧은 보라색까지 여러 가지 색깔로 나타나게 됩니다.

    습도량이 낮으면, 빛의 굴절이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5가지 색이나 2가지 색으로 뜬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 습도량이 낮은 지역에서는 빛의 굴절이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빨간색과 파란색만 나타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습도량이 낮은 지역에서는 5가지 색이나 2가지 색으로 뜬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습도량이 낮아져서 5가지 색이나 2가지 색으로 뜬 무지개를 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