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쾌활한칠면조188
쾌활한칠면조18823.11.12

송전을 할때 직류를 활용하는 이유 중 비동기 연계란?

송전을 할때 직류를 활용하면 좋은 점으로 비동기 연계가 있습니다.
1. 비동기 연계란 무엇인가요?

2. 교류-> 교류는 주파수와 위상을 맞춰줘야하는데, 직류는 주파수를 신경 쓸 필요가 없으니까 더욱 편리해서 장점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그리고 전동기 인버터 기동에서 왜
3. 교류 -> 직류 -> 교류를 쓰는건가요?

한전에서 교류로 들어오는데 굳이 직류로 바꿨다가 교류로 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1. 비동기 연계는 전력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는 전력을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동기 연계를 통해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맞습니다. 교류에서는 주파수와 위상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전력 변환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그러나 직류에서는 주파수를 신경 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력 효율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전동기 인버터 기동에서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한 후 다시 교류로 변환하는 이유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고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한전에서 교류로 들어온 전력을 교류로 바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동기 연계는 주로 전력의 장거리 이동 및 서로 다른 지역 간의 전력 교환에 유용한 기술입니다.

    비동기 연계는 주로 고전압 직류(DC, Direct Current) 전송에서 활용됩니다. 직류 전송은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송과 달리 주파수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지역의 전력망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