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건강검진 항목의 경우 뭘 더 추가하고 골라야 하는지 궁금해요.
30대 중반쯤 되다보니 건강검진 항목을 어떻게 구성해야될지 진지하게 고민이 많이 되네요. 기본적인 검진만으로는 안심하기 어렵기도 하고 또 가족력과 생활습관에 따라서 추가 항목을 선택하라고 하던데 어디까지 해야 과잉이 아닐지 적절하게 판단하기가 쉽지 않네요.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 주기랑 용종 발견 이력에 따른 간격 조정, 수면내시경의 안전성, 장정결과 마취 회복까지의 부담감 등 실전 경험을 듣고 싶습니다. 심장 관련으로는 심장초음파, 심전도, 운동부하검사, 관상동맥 CT 같은 항목 중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셨는지, 흉통이나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도 예방 차원에서 의미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보험 적용 범위와 실손 청구 팁, 검진 전후 식이/약물 조절, 운동 루틴 재설계까지 포함해 실제로 도움이 되었던 꿀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30대 건강 검진을 받았을 때 심장초움파 검사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 초음파의 경우에는 침장에 이상 요구나 높은 확률로 예상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면 약을 복용해서 증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환자분이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만약 가성비, 그러니까 과잉검사를 피하고 싶다...라는 생각이시면 건강검진을 안 받으시면 됩니다. 아니면 최소한으로 아무거나 받으시면 됩니다. 건강검진이라는 것 자체가 무증상이 사람들에서 통계에 따라 오만가지 검사를 무작위로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부모형제 혹은 친척, 지인들의 지병 소식에 걱정이 되어서 검사를 하시는 것이라면 해당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하시면 됩니다. 단지 염두에 두셨으면 하는 것은 (a)(b)(c)(d)(e) 이 중에서 어떤 검사를 하면 좋을까요? 이런 것은 고민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건 그야말로 시간낭비니까요
따라서 우성 과잉검사, 가성비 이런 것이 신경쓰이는지 먼저 자문을 해보세요
그리고 그렇지 않다. 건강이 걱정이 된다. 라고 생각이 들면 어떤 질환이 걱정이 되는지 하나하나 항목을 정해보세요
만약 이 부분에서 그걸 제가 어떻게 알아요? 병원에서 알아서 해주세요. 라고 생각하신다면 병원에 이야기를 하시면 됩니다. 비용 관련없이 할 수 있는 모든 검사를 해주세요 라고 말이지요.
그게 아니라면 중요한 것은 무슨 질환이 걱정이 되시는지를 특정짓는 것입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