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조선시대 사형 종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건 목을 치는 참수형 목을 메다는

교수형 그 팔다리 말에다 묶어서 당기는거

이거 밖에 모르겠는데

조선시대 사형 방법은 몇가지가 있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사형에는

      교형, 즉 교수형은 처형된 시신이

      온존하다는 점에서 사형 중에서는

      가장 가벼운 것에 해당하였다.

      반면 참수, 즉 목을 베어버리는 참형은 이보다는 훨씬 무거운 것이었고,

      능지처참으로 잘 알려진 능지처사형은 목, 팔, 다리 등 처형된 신체가 완전히

      손상된다는 점에서 가장 무거운

      사형으로 간주하였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가장 온건한 사형 방법은 '교' 즉, 목을 메어 죽이는 것이었고, 그 다음이 '참' 즉, 목을 베어 죽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소위 대역죄인의 경우 팔, 다리를 소, 말 등에 묶어서 당겨 죽이는 '거열', 죽은 후 대역죄가 적발되거나 했을 경우 시체를 꺼내 목을 베는 '부관참시', 더 심한 형으로 시체를 거열형에 처하는 '부관능지' 등이 대표적인 사형의 방법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있었던 사형의 종류로는 사람의 목을 매는 교형, 목을 베는 참형, 머리 양팔 양다리 몸통등의 여섯 부분으로 찢어 죽이는 농지쳐사로 총 3개의 사형 제도가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조는 여러 유형의 처형이 수반되는 복잡한 사형 제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 가장 흔한 사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참수형: 참수형은 조선시대에 가장 흔한 사형이었다. 반역, 살인, 반란과 같은 심각한 범죄를 위해 예약되었습니다. 참수는 일반적으로 공개적인 구경거리였으며 처형된 범죄자의 머리는 종종 다른 사람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전시되었습니다.

      2. 끓임: 끓임은 조선 시대에 사용되었던 또 다른 형태의 사형이었습니다. 간첩이나 반역죄 등 국가에 반하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3. 교수형: 교수형은 조선 시대에 흔히 볼 수 있는 사형의 또 다른 형태였습니다. 절도, 강도, 살인 등 광범위한 범죄에 사용되었습니다.

      4. 대나무 조각: 대나무 조각은 사람을 대나무 칼날로 천천히 베어 죽이는 일종의 사형이었습니다. 이 처형 방법은 가장 고통스러운 방법 중 하나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극악무도한 범죄에 사용되었습니다.

      5. 채찍질: 채찍질은 사람을 채찍이나 몽둥이로 때리는 체벌의 한 형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