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과 혜는 서로 따로 닦을것이 아니라 병행되어 닦아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정과 혜는 본래 계,정,혜의 3학으로 서로 떼어 놓을수 없는것인데 후세에 선을 닦는자가 선정에만 치우치고 교를 공부하는 자가 혜학에만 치우치는 우를 범하고 말았지요 원래 교는 지식과 이론문이고 선은 실천문이다 지식과 이론을 마음을 닦는 방법에 대한 안내라고 보면 선은 그것을 실천하고 체험하는 방편입니다
우리나라 고려시대 불교의 특징은 경전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교종과 단밖에 깨우침을 얻는 선종과의 조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는데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과의 조화를 추구한 대각국사 의천의 교관겸수(내외겸전)사상과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과의 조화를 추구한 보조국사 지눌의 돈오점수(정혜쌍수)를 들 수 있습니다. 보조국사 지눌이 주장한 정혜쌍수의 정은 명상으로 선종적 요소이고 혜는 지혜(반야)로 교종적 요소를 뜻합니다. 즉 선종과 교종과의 조화를 추구한 선교일치 사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