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역사상 스승에날은 언제 처음 도입되었나요?
스승에 날이 참 지낫지만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날은데 이런 스승에 날은 언제 처음 누구에 의해서 우리나라에 도입되고 제정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의 기념일 중 하나로 스승의 은혜에 보답을 하는 날. 매년 양력 5월 15일로 이 날은 '겨레의 스승'으로 꼽히는 세종대왕의 탄신일에서 따왔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여 전국 온 백성에 가르침을 주어[1] 존경받는 것처럼 스승이 세종대왕처럼 존경받는 시대가 왔으면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참고로 음력(명나라 대통력) 1397년 4월 10일은 양력 율리우스력으로 1397년 5월 7일이고,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한 날짜가 1397년 5월 15일이라서 그 날이 스승의 날로 된 것이다.
다만 대한민국에서 스승의 날이 처음부터 5월 15일이었던 건 아니었고, 원래는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강경여자고등학교(現 강경고등학교)에서 청소년적십자(RCY) 단원들이 세계 적십자의 날(5월 8일)을 맞아 자신의 스승을 찾아간 것이 시초였다. 이것이 날짜상 어버이날과 겹치기에, 일주일 후이자 대한민국의 스승이라 할 수 있는 세종대왕 탄신일로 미뤄 오늘날까지 기념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교육 정책을 총괄하는 교육부가 스승의 날 행사를 주관하고 있으며 매년 모범 교사들에 대한 표창장 수여 등을 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5월 중순이면 대부분의 정규 교과 과정에서 1학기 중간고사 직후 시점이라 학급 담임이나 교과 담임의 은혜까지 느끼기엔 좀 어려운 면이 있긴 하다는 지적도 하고 있으나, 이는 어린이~청소년층의 지적 감각 능력을 과소평가한 이야기에 가깝다. 최소 4시간에서 최대 12시간까지 서로 얼굴 맞대고 살아가는 학교에서 2달이면 각 교사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가 내려지기 충분한 시간이기 때문. 다만, 일각에서는 스승의 날을 매 학년을 끝마치는 2월로 옮기자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출처: 나무위키 스승의 날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여 교원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지정된 날입니다.
1963년 충남지역 청소년 적십자 단원들이 ‘은사의 날’을 정하고
사은행사를 한 것이 시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5월 15일이 스승의 날로 지정된 것은 세종대왕 탄신일을 선택하여 지정하였습니다.